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공기 중 코로나19 바이러스 잡는다…플라즈마 공조기술 개발

공기 중에 떠다니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에어로졸을 실시간 비활성화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공조(공기조화)기술이 개발됐습니다.

한국재료연구원(KIMS, 재료연)은 나노바이오융합연구실 이승훈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오늘(7일) 밝혔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실시간 방역성능 검증실험(플라즈마 필터 통과후 PFU 감소경향) (사진=재료연 제공, 연합뉴스)

연구팀이 개발한 것은 유전체 필터 방전(Dielectric Filter Discharge) 기술이 적용된 플라즈마 필터입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에어로졸이 산소활성종과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필터를 통과하면 바이러스가 99.8% 이상 비활성화되는 것을 연구팀은 확인했습니다.

오존 제거용 촉매를 설치해 통상 플라즈마 필터에서 발생하는 오존 배출도 규제치 이하로 낮췄습니다.

재료연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배양접시에 담긴 액상 형태가 아닌 에어로졸 상태에서 실시간 방역성능을 검증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국립마산병원 임상연구소와 협력해 코로나19 바이러스 배양액 에어로졸을 분사해 방역성능을 직접 평가하는 절차도 거쳤습니다.

이 기술이 의료현장이나 다중이용시설 등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 건물 공조장치 등에 적용되면 향후 감염병 확산 억제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재료연은 기대합니다.

연구원은 지난해 플라즈마 공기청정기, 공조부품과 관련해 국내 기업 2곳에 기술이전을 완료한 상태입니다.

특히 필름형 플라즈마 필터 기술이 적용된 공기살균 청정기는 이르면 이달 중 출시될 예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