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소방대 대피한 붕괴 현장…'노동자만' 남아 잔해 제거했다

소방대 대피한 붕괴 현장…'노동자만' 남아 잔해 제거했다
안전사고 우려가 제기돼 실종자 수색이 중단된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 현장에서 소방구조대가 잔해 제거 노동자만 남겨두고 철수해 논란이 입니다.

오늘(30일) 범정부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지역 사고수습통합대책본부에 따르면 24층 천장 균열이 발견된 어제 오후 국토안전관리원 권고로 붕괴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구조와 실종자 수색이 일시 중단됐습니다.

중수본은 국토안전관리원 권고를 받아들여 소방 무전으로 대피령을 내렸고 오후 5시 5분쯤 구조·수색이 중단됐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구조와 수색 중단 이후 건물 안에서는 균열이 발생한 24층과 그 하부층을 중심으로 추가 붕괴 예방을 위한 지지대(잭서포트) 보강 등 안전조치가 이뤄졌습니다.

하지만 대피령이 내려진 아파트 상층부에서는 소방구조대가 대피한 뒤에도 건설노동자 20여 명이 잔해 제거 작업을 지속했습니다.

화정아이파크 붕괴 현장에서 사고 수습은 중수본과 대책본부, 아파트 시공사인 HDC 현대산업개발의 협업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중수본 등은 현대산업개발이 투입한 잔해 제거 건설노동자와 수색·구조 담당인 소방대가 현장에서 함께 작업한다고 그간 정례브리핑에서 발표해왔습니다.

어제 소방구조대가 빠져나간 29층에 남아 잔해 제거를 이어간 건설노동자는 상당수 외국인 근로자였습니다.

구조·수색 일시 중단 소식을 들은 붕괴 피해자 가족협의회 측이 오후 7시쯤 건물 내부로 진입해 29층에 도착했을 때 이들을 감독·지휘할 현대산업개발 관계자도 현장에는 없었습니다.

당시 현장에서 마주친 가족협의회 측에 작업 내용을 설명한 현장 책임자도 현대산업개발 직원이 아닌 외국어 억양의 건설노동자였습니다.

건설노동자들은 대피령 발령 약 4시간 만인 오후 9시쯤 작업을 멈추고 건물 밖으로 철수했습니다.

건설노동자들의 대피가 착수되기 약 1시간 전인 오후 8시쯤 현장을 찾은 이일 소방청 119 대응국장은 가족협의회와 면담에서 "이분(건설노동자)들에 대해서는 대피 관계가 제대로 전파가 됐는지 안 됐는지 확인이 필요하다"며 "간극이 발생한 듯하다"고 말했습니다.

중수본과 대책본부는 소방구조대와 건설근로자 간 대피 간극이 4시간가량 발생한 경위에 대해 "정확한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알려드리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붕괴 피해자 가족협의회 측은 건설노동자만 남은 수색 현장을 지켜본 뒤 "구조와 수색마저 외주 용역업체가 대리하느냐"며 "이런 식으로 할 거면 정부는 빠져라"고 항의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