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붕괴사고 현장 감리 "공법 변경 구조검토 요구 현산 측이 묵살"

붕괴사고 현장 감리 "공법 변경 구조검토 요구 현산 측이 묵살"
광주 HDC현대산업개발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 과정에서 현산 측이 감리의 공법 변경에 대한 구조검토 요구를 묵살한 정황이 나왔습니다.

오늘(28일) 광주 서구 신축아파트 붕괴사고 수사본부(광주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어제 감리 2명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들 감리는 현산 측이 붕괴사고 시발점으로 지목된 39층 슬래브 공법 변경에 대한 구조검토 요청을 현산 측이 묵살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현산과 철근콘크리트 하청업체는 39층 슬래브 타설 공법을 최초 재래식 거푸집 설치 방식으로 하기로 했다가, 지지대 설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데크 플레이트'(이하 데크)를 활용한 공법(무지보 공법)으로 변경했습니다.

감리는 데크를 활용한 공법 변경이 설계변경에 해당한다고 판단, 구조검토를 거쳐야 한다고 자료 제출을 현산 측에 요구했지만 "자료를 끝내 받지 못했다"고 진술했습니다.

또 39층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표준시방서 규정을 어겨 3개 하층 동바리를 철거한 것은 "확인 안 한 책임이 있다"고 혐의를 인정했습니다.

경찰은 붕괴사고의 주요 요인으로 ▲ 하부층 동바리 미설치 ▲ 데크 공법 시 역보('┴'자형 수벽) 무단 설치 등을 지목했습니다.

특히 데크 공법을 사용하며 수십t에 달하는 역보를 무단 설치하는 과정에서 감리의 구조검토 요청을 현산이 묵살한 정황은 원청의 과실을 입증하는 중요한 진술입니다.

현산 관계자들은 지난 26일 경찰 소환조사에서 동바리 미설치와 역보 무단 설치에 대해 "하청업체가 임의로 한 일"이라는 취지로, 연관성을 전면 부인했습니다.

경찰은 오늘 기초조사를 진행한 현산 측 전·현직 현장소장과 하청업체 현장소장을 다시 불러 그동안 수사 결과를 토대로 과실 여부를 집중적으로 추궁할 예정입니다.

수사본부 관계자는 "39층 공법 변경이 설계 변경을 거쳐야 했는지는 검토해봐야 한다"며 "관련자 진술을 비교 분석하며 수사를 이어갈 방침이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