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한강은 얼지 않았다, '공식적으로'

1월 20일 한강(출처: 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지난 1월 20일 한강 광진교 일대 모습입니다. 얼음조각이 둥둥 떠 있고 저 멀리 올림픽대교 쪽은 빙판 위에 눈이 쌓여 있으며 한강 이남과 이북이 연결된 것처럼 보이기까지 합니다. 사진 제목은 <연일 계속되는 한파, 한강은 꽁꽁>, 어울리는 제목입니다.

하지만 한강은 '공식적으로'는 얼지 않았습니다. '한강 결빙'이 선언되려면 좀 더 엄격한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강의 공식 결빙을 위한 조건

기상청에서 발간한 <계절관측지침>을 보면 '강·하천의 결빙 및 해빙 관측'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여기서 규정한 '강·하천의 결빙'은 "얼음으로 인하여 수면이 완전히 덮여서 수면을 볼 수 없는 상태"이며 "얼음의 두께와는 관계가 없다"입니다. 즉, 얼어서 물속이 들여다 보이지 않는다는 조건을 충족하면 살얼음이든 두꺼운 얼음이든 '결빙'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겁니다. 다시 한 번 위의 사진을 보면 그렇게 언 것처럼 보이죠. 그런데 왜 안 얼었다? 다음 조건인 '관측장소'가 문제입니다.

같은 지침에 관측장소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 부산, 울산, 대구, 포항 등 각 지역별로 결빙과 해빙을 관측하는 장소가 나와 있는데 한강의 관측장소는 '한강대교의 노량진 쪽 두 번째와 네 번째 교각 사이에서 상류 쪽으로 100m 부근의 남북 간 띠 모양의 범위"입니다. 수도권의 서호천은 '서호천의 상류지점인 서둔교의 첫 번째 교각의 하류 20m 부근의 남북 간 띠 모양의 범위"입니다.(서호천은 수원에 있습니다.) 이 관측장소가 '결빙'이어야, 다시 말해 얼어서 물이 들여다 보이지 않아야 공식적으로 언 것입니다.
 
한강 결빙 관측장소(출처: 기상청)
 

관측 이래 한강이 안 얼었던 건 여덟 번뿐…올해도?

그럼 관측 자체는 어떻게 할까요. 관측의 기본은 '목측目測', 눈으로 확인하는 게 우선이라고 합니다. CCTV로 먼저 살펴보긴 하지만 얼었다 싶으면 사람이 직접 가서 눈으로 확인한다고 하네요. 한강의 공식 결빙은 이 시기에 꽤 의미 있는 관측이기에 매일 서울 기상관측소장이 나가서 살펴본다는 게 기상청 설명입니다.

박정민 기상청 예보관은 "한강 결빙은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0도 이하로 떨어진 채로 며칠 동안 지속되고 낮 기온도 영하권에 계속 머물고 바람은 좀 적게 불어야 한다"면서 "지금 중기예보를 봐도 그런 날이 없을 것 같아서 올해는 얼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올해만 한강이 (공식적으로) 얼지 않았던 건 아닙니다. 한강 결빙은 1906년부터 관측이 시작됐는데 가장 최근인 2019년에도 관측되지 않았습니다. 그 전에는 1960, 1971, 1972, 1978, 1988, 1991, 2006년까지 8차례 한강 결빙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115년 동안 단 8번입니다. 만약 올해까지 한강이 얼지 않았다는 게 확정되면 모두 9차례로 늘어나게 됩니다. 
 

지구 온난화로 한강도 덜 어는 것? 그건 아직 좀…

얼지 않은 해의 간격이 좀 좁혀진 것 같죠?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각각 1회씩이었는데 2019년 이후엔 3년 만에 다시 한강 결빙이 없는 해가 (아마도) 나타날 듯합니다. 물론 2월에 강한 추위가 찾아오면서 한강이 공식 결빙될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만. 

이를 지구 온난화와 연결지을 수 있을까요. 기온이 점점 올라가면서 한강 결빙 자체가 줄고 있다, 한강이 얼지 않는 해가 더 많아질 수도 있다!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당장 몇 년 사이로 '한강 결빙'이 있거나 없다고 해서, 그걸 두고 한반도가 더워지고 있다는 식으로 곧바로 연결 짓는 건 어렵다는 겁니다. 세계기상기구는 기후평년값을 산출할 때 30년 기간을 평균해서 냅니다. 그리고 그걸 10년 주기로 업데이트합니다. 그 정도 기간은 살펴봐야 의미 있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는 거죠.

데이터 하나를 참고로 살펴보면서 글을 마치겠습니다.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국가기후데이터센터(data.kma.go.kr)에서 결빙일수를 찾아봤습니다. 그 중 서울 지점 결빙일수를 보면 1991년부터 2020년까지 30년 평균 연 결빙일수의 합계는 107.7일인데 최근 10년 합계는 102.7일, 최근 5년 합계는 101.2일입니다. 결빙일수가 조금씩 줄고 있는 것 같죠? 반가운 마음에 경기도 수원 지점의 결빙일수를 찾아보니 역시 1991년~2020년 30년 평균 연 결빙일수의 합계는 113.5일인데 최근 10년 합계는 111.5일, 최근 5년 합계는 114.8일이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한강도 덜 얼고 있다! 라고 하기에는 여전히 애매하네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