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오미크론 대응 몫 나눠 맡는 동네 병원…현장에선 '난감'

<앵커>

오미크론 대응 단계의 전환 시점을 두고 정부가 오락가락하는 것은 동네 병원에 맡길 검사와 진료의 틀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동네 병원들은 세부지침이 없어서 혼란스럽다거나 현실적으로 어려워 난감하다는 반응이 많습니다.

한성희 기자입니다.

<기자>

오미크론 의료 대응체계는 폭증하는 환자의 관리 부담을 동네 병원이 나눈다는 것입니다.

먼저 신속항원검사로 코로나 확진 여부를 판단합니다.

그런데 확정된 세부지침은 아직 없고, 의심 환자와 일반 환자를 어떻게 분리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조은주/가정의학과 의원장 : 환자를 검사할 수 있는 그런 구분된 공간이 없어요. 검사하려면 마스크 다 내려야 되고, 방호복을 또 입고 있어야 되는데 저는 이 환자뿐만 아니라 다른 환자도 봐야 하잖아요.]

재택치료자의 비대면 진료도 동네 병원 몫입니다.

의료진이 24시간 병원에 상주해야 한다는 조건에 참여를 꺼리는 병원들이 많습니다.

[손용규/소아과 의원장 : (병원이 세 든) 건물 자체가 안 됩니다. 저희 건물도 밤 10시쯤 되면 모든 건물 다 불 끄고 다 철수하고, 냉난방도 안 되는 경우도 꽤 있고….]

하루 2, 3번씩 연락해 환자 상태를 챙기는 것인데, 응급상황이 생기면 119에 신고하고 보건소에 알려 병상을 배정받도록 해야 합니다.

의료 현장에서는 현실에 맞지 않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박명하/서울시의사회장 : (통상) 환자가 응급 콜을 하는 경우가 1% 내외라고 합니다. 열흘에 한 번 올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는 응급콜을 의료기관 내에서 대기하고 있으면서 받으라고 하니까…. ]

서울시는 구로구를 시작으로 5개 구 40여 개 병원에서 동네 병원의 코로나 진료 시범운영에 들어갔습니다.

서울시의사회가 재택치료 지원센터를 꾸려 심야 업무를 맡는 방안도 제시했지만, 아직은 자원봉사로 메워야 하는 실정입니다.

정부는 이런 현장 의견을 반영해 오늘(21일) 오미크론 의료 대응을 위한 구체안을 발표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