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 대통령 "한반도 평화구축 쉽지 않아…임기 마지막까지 정진"

문 대통령 "한반도 평화구축 쉽지 않아…임기 마지막까지 정진"
이집트를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관련해 "현 상황을 봤을 때 평화 구축은 쉽지 않아 보인다"며 "평화로 가는 길은 아직 제도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오늘(20일) 이집트 일간지 '알 아흐람'과 진행한 서면인터뷰에서 이렇게 언급했습니다.

남북미 대화가 교착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연초부터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이어가고 나아가 2018년 이후 중단했던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즉 ICBM 발사 재개를 검토하겠다고 밝히는 등 한반도 정세가 급속히 냉각 중이라는 점을 고려한 메시지로 보입니다.

문 대통령이 언급한 '평화의 제도화'는 종전선언을 가리킨 것으로 보이며, 이 역시 현재로서는 진전이 쉽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문 대통령은 "저는 임기 동안 한반도 평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세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을 개최할 수 있었으며, 두 차례의 북미 정상회담, 남북미 3자 회담을 개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2018년 9월 19일에 이뤄진 군사합의로 군사적 긴장이 완화됐다"고 돌아봤습니다.

문 대통령은 "평화는 우리가 강하게 염원할 때 이뤄진다. 앞으로도 평화 구축을 위해 진심을 다해 노력할 것"이라며 "저의 대통령 임기 마지막 순간까지 이를 위한 정진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문재인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또 이번 인터뷰에서 코로나19 문제에 대해 "세계적으로 훌륭한 의료적 명성을 지닌 한국은 방역 모범국가로 인정받았다"며 "국민들의 생활을 보호하고, 국경과 지역을 봉쇄하지 않고 경제적 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한국 정부는 경제적 피해가 막대했던 소상공인들을 지원해 왔다"며 "위기 극복과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기로에서 양쪽 모두에 균형 잡힌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런 노력 덕분에 한국 경제는 다른 선진국들보다 빠르게 위기를 극복하고,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며 "작년 수출 규모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고, 세계 10대 경제 강국 입지를 다졌다. 2021년 1인당 국민총소득도 3만 5천 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한국에서도 오미크론 변이가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다"며 "그러나 한국 정부는 국민과 함께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어려움을 극복해 나갈 것이다. 이집트 역시 코로나의 그늘에서 하루속히 벗어나서 국민들이 일상생활로 돌아올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