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美 연준의장 "인플레 지속하면 금리 더 인상…정상까진 먼 길"

美 연준의장 "인플레 지속하면 금리 더 인상…정상까진 먼 길"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11일(현지시간)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할 경우 금리를 예상보다 더 인상하겠다며 긴축 기조 전환 의사를 재확인했습니다.

또 시장 유동성 공급을 줄이기 위해 하반기에 연준이 자산 축소에 나설 수 있다고 언급했지만 정상상태 도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날 상원 금융위의 인준 청문회에 출석해 "높은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길게 지속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금리를 더 많이 인상해야 한다면 우리는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더 높은 인플레이션이 고착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파월 의장은 시장 유동성을 줄이는 또 다른 수단인 국채 등 보유자산 축소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2007∼2009년 경기침체 때 했던 것보다 더 일찍, 그리고 빨리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당시는 첫 금리 인상 2년 후 연준이 자산 축소에 나섰습니다.

그는 구체적인 시점을 특정하진 않았지만 올 하반기에 시작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발언은 연준이 고용 회복세 속에 고물가가 예상보다 오래가자 작년 말 긴축 기조로 전환하면서 내놓은 입장을 재차 확인하는 맥락입니다.

연준은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에 속도를 내 이전에 예고한 6월보다 빠른 올 3월에 끝내겠다는 입장을 지난달 밝혔습니다.

또 올해 세 차례 금리 인상을 시사했는데, 시장에서는 3월부터 시작해 4차례 이상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있습니다.

다만 파월 의장은 "지금은 우리가 전염병 대유행에 대응한 비상 조처에서 벗어나 좀 더 정상적인 수준으로 움직일 때"라고 했지만 "정상 상황까지는 먼 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고용 시장을 위해서도 물가 억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점을 누차 역설했습니다.

지난달 실업률은 3.9%로 코로나19 사태 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작년 11월 물가 상승률은 5.7%로 연준 목표치를 크게 상회합니다.

연준의 양대 목표는 최대고용 달성과 연 2% 이내 인플레이션 억제입니다.

파월 의장은 고용률을 높이려면 긴 경기확장이 필요하지만 물가 안정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한 뒤 "높은 인플레이션은 완전 고용 달성의 심각한 위협이다", "물가 안정 없이는 최대 고용을 유지할 수 없어 인플레이션 억제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훨씬 상회하고 있다. 경제는 더는 우리가 취한 확장적 정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서 지금은 연준의 비상 정책을 끝낼 때라고 밝혔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올해 중반까지는 완화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오미크론 변이 등 코로나19 급증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단기적일 수 있다면서 이것이 금리 인상 등 연준의 계획을 탈선시키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