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행성이라 주로 야간에 출현했던 것과 달리 한낮에 목격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3일 중국 포털사이트 바이두에 새해 첫날인 지난 1일 주 모 씨가 지린성 훈춘시 산다오거우촌에서 촬영한 야생 새끼 호랑이 동영상이 올라왔습니다.
이 동영상에는 산속에 있던 새끼 호랑이가 주 씨를 발견하자 몸을 돌려 달아나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호랑이는 달아나다 잠깐 멈춰 주 씨를 돌아본 뒤 다시 산속으로 사라졌습니다.
주 씨는 "살이 통통하게 올라 귀여운 모습이었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12월 20일에도 훈춘에서 한낮에 성체 백두산 호랑이가 목격됐습니다.
목격자는 자신의 휴대전화로 찍은 동영상을 소셜미디어에 공개한 뒤 "차를 타고 가다 2m 앞에서 길을 막아선 호랑이와 마주쳤다"며 "순순히 길을 내주고 숲 속에서 우리가 떠나는 것을 지켜봤다"고 말했습니다.

아무르타이거센터가 설치한 비디오카메라에는 폭설 속 먹잇감을 찾으러 나온 어미와 4∼5개월 돼 보이는 새끼 호랑이들이 주위를 살피는 모습이 40초가량 담겼습니다.
중국과 러시아, 북한 접경지역은 야생 백두산 호랑이 집단 서식지로, 출몰이 빈번하지만, 야행성이라 한낮에 지근거리에서 사람들과 마주치는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전문가들은 개체 수 증가로, 경쟁이 치열해지자 밀림에 국한됐던 야생 호랑이들의 먹이활동 영역이 넓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중국 당국이 작년 10월 지린과 헤이룽장 일대 1만 4천100㎢를 백두산 호랑이 및 표범 국가공원으로 지정하는 등 지속적인 보호에 나서면서 이 일대 서식 호랑이는 2017년 27마리에서 50여 마리로 늘어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중국 전문가들은 개체 수가 늘면서 야생 호랑이 근친교배가 일어나고 있으며, 유전병 유발과 열성 유전자 구현으로 인해 지속가능한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사진=바이두, 하이커신문 캡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