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반도 해수면 30년간 9.1㎝ 상승…최근 10년 상승 속도 빨라져

한반도 해수면 30년간 9.1㎝ 상승…최근 10년 상승 속도 빨라져
지난 30년간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이 매년 평균 3.03㎜씩 높아져 총 9.1㎝가량 상승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1990년대보다 최근 10년간의 상승 속도가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 자료를 분석해 이러한 내용의 '기후변화에 따른 장기 해수면 변동 연구 결과'를 오늘(20일) 발표했습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7대 지표 중 하나인 해수면 장기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1991년부터 2020년까지 21개 조위관측소가 관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상승률을 계산했습니다.

그 결과 해수면은 해당 기간 매년 평균 3.03㎜씩 높아진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최근 30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률 (사진=해수부 제공, 연합뉴스)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동해안이 연 3.71㎜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해안(연 3.07㎜), 남해안(연 2.61㎜) 순이었습니다.

관측지점별로 보면 울릉도(연 6.17㎜)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이어 포항·보령·인천·속초 순이었습니다.

최근 30년간 연안 평균 해수면 상승 속도를 살펴보면 1991∼2000년에는 연 3.80㎜, 2001∼2010년에는 연 0.13㎜, 2011∼2020년에는 연 4.27㎜였습니다.

1990년대 대비 2010년대 상승 속도가 약 10% 이상 증가한 셈입니다.

지난 8월 '정부간 기후변화에 관한 협의체(IPCC)' 산하 실무그룹은 1971∼2006년과 2006∼2018년에 전 지구 평균 해수면이 각각 연 1.9㎜씩, 3.7㎜씩 상승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그 결과와 비교하면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 상승률은 1971∼2006년 연 2.2㎜로 전 지구 평균보다 소폭 빨랐지만, 2006∼2018년에는 연 3.6㎜로 전 지구 평균과 유사했다고 국립해양조사원은 전했습니다.

정태성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지금과 같은 기후 위기에 연안의 선제적 관리와 대응을 위해서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현황을 지속해서 감시하고 장기 전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해수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