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원회는 오늘(16일) 이 같은 내용을 비롯한 지방의회와 국공립대학, 공공의료기관의 청렴도 측정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지방의회 청렴도의 경우 직무 관련 공직자와 전문가, 지역주민 등 3만1천935명을 대상으로 부패방지 노력도, 부패사건 발생현황 감점 등을 반영해 10점 만점으로 평가했습니다.
결과는 1∼5등급으로 분류했습니다.
올해 지방의회 청렴도 점수는 6.74점으로 지난해보다 0.01점 올랐습니다.
지난 9일 발표된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균 8.27점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광역의회 17곳 가운데 서울특별시의회는 지난해보다 2등급 하락해 '나홀로' 5등급으로 꼴찌를 기록했습니다.
서울시의회는 의정활동 분야에서 5등급, 의회운영 분야에서 4등급을 받았습니다.
1등급을 받은 광역의회는 없었고 강원도·경상남도·경상북도·부산광역시·전라남도·충청남도·충청북도 의회가 2등급에 자리했습니다.
65개 기초의회 중에는 경북 김천시의회, 서울 동대문구의회, 전남 순천시의회가 5등급을 받았습니다.
국공립대학 16곳의 종합청렴도는 7.36점으로 지난해(34곳 대상) 7.79점보다 0.43점 하락했습니다.
1등급을 받은 곳이 없는 가운데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지난해에 이어 5등급을 받았고 서울대·경북대·전북대·한국과학기술원은 4등급이었습니다.
13개 공공의료기관의 경우 종합청렴도가 6.95점으로 지난해(44곳 대상) 7.41점보다 0.46점 하락했습니다.
(사진=국민권익위원회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