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포터 시리즈' 등 영화에 나오는 투명 망토가 실제로 가능할까?
국내 연구진이 굴절률을 제어해 빛의 경로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투명 망토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벌크 메타물질'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서울대 정인 교수 연구팀 등이 음굴절하는 빛의 파장대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을 구현했다고 오늘(7일) 밝혔습니다.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광학 특성을 가진 물질인 메타물질은 빛을 일반적인 굴절 방향과 다른 쪽으로 휘도록 하는 '음굴절'과 빛의 파장보다 작은 초점을 만드는 등 특이 성질을 보입니다.
메타물질은 무궁무진한 상상 속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미래혁신소재 플랫폼으로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음굴절이 구현되면 투명 망토, 빛의 파장보다 작은 초점, 초고해상도 이미징, 빛 경로 제어, 초고성능 센서 등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나노물질인 질화 보론과 흑연층이 자발적으로 교차해 쌓이는 합성법을 개발했습니다.
이들 분말을 벽돌처럼 찍어 잘라낸 벌크 소재(자연계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길이 100㎚ 이상의 눈으로 관측되는 물질)는 3차원 모든 방향에서 음굴절 등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광학적 성질을 보일 수 있는 '하이퍼볼릭 메타물질' 성질을 나타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크기의 나노 소재가 아닌 사람 눈으로 볼 수 있는 크기의 벌크 소재 형태로는 처음 구현된 메타물질입니다.
평면 방향뿐만 아니라 모든 방향에서 들어오는 빛을 음굴절시키는 데다 파장대도 정밀하게 조율할 수 있습니다.
메타물질 여러 개를 이어 붙여 망토를 만들고, 망토의 빛 굴절률을 정밀 제어하면 투명 망토도 가능해진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매우 작은 금속을 초고난도 특수 세공 기술로 가공해 나노 크기의 메타물질을 구현해 왔습니다.
구조 설계·변형이 어려운 기존 방식으로는 다양한 메타물질을 구현하거나 성질을 제어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왔습니다.
연구팀은 "질화 보론과 흑연을 섞는 비율, 두께 등이 벌크 메타물질의 성질을 결정하는데 이는 메타성질을 화학적으로 제어한 최초의 결과"라며 "투명 망토, 나노입자도 볼 수 있는 초고해상도 이미징 등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지난달 16일 온라인 공개됐습니다.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