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육식하는 벌?…생닭에 몰려든 '독수리 벌', 장내 미생물 콘도르와 같았다

육식하는 벌?…생닭에 몰려든 '독수리 벌', 장내 미생물 콘도르와 같았다
벌은 꿀을 찾아 꽃을 옮겨 다니지만, 남미 열대지역에 서식하는 '독수리 벌'(vulture bee)은 썩은 고기를 찾아 다닙니다.

고기를 물어 뜯을 수 있는 이빨을 갖고 있으며 육식만 하는 유일한 벌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쏘는 벌 이른바 '부봉침벌'(stingless bee)의 한 종으로 꿀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육식을 하게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학교(UCR) 곤충학 연구진이 독수리 벌의 장내 박테리아를 조사한 결과, 8천만 년 가까이 진화하면서 거의 같은 종의 박테리아를 유지해온 보통 벌과는 사뭇 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대학에 따르면 연구진은 독수리 벌이 서식하는 코스타리카를 방문해 미끼로 생닭을 나뭇가지에 걸어놓고 독수리 벌을 유인했습니다.

그러자 독수리 벌과 가끔 고기로 단백질을 보충하는 근연종이 몰려들었으며, 안쏘는 벌이 꽃가루를 모아가는 데 이용하는 뒷다리의 같은 부위로 닭고기를 떼어 갖고 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진은 죽은 고기만 먹는 독수리 벌과 고기와 꽃을 모두 찾아다니는 다른 부봉침벌, 꽃가루만 먹는 보통 벌 등의 장내 박테리아도 비교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독수리 벌은 다른 벌과 극단적 차이를 보였으며 근연종도 갖지 않은 새로운 호산성 박테리아를 많이 가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박테리아들은 하이에나를 비롯한 썩은 고기를 먹는 동물은 물론 사체를 먹는 콘도르(독수리)가 가진 것과 비슷한 종으로, 썩은 고기에 있는 병원균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독수리 벌은 인간의 발효 식품에 많은 유산균인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는 물론, 육류 소화와 관련된 카르노박테륨(Carnobacterium)도 가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논문 공동 제1 저자인 UCR 곤충학 박사과정 대학원생 제시카 마카로는 "벌이 사체를 먹을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놀라웠다"면서 "인간이라면 썩은 고기 속의 미생물이 경쟁하면서 내뿜는 독성 물질로 탈이 났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독수리 벌은 썩은 고기를 먹지만 이들의 꿀은 여전히 달고 식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연구진은 독수리 벌이 가져온 고기는 꿀이 저장된 방과는 분리된 특수한 방에 2주간 밀봉해 두었다 먹는다고 했습니다.

교신 저자인 곤충학자 퀸 맥프레드릭 박사는 "세상의 기이한 것은 흥미로운 발견이 많이 이뤄질 수 있는 곳에 있다"면서 "자연선택의 결과는 많은 통찰력을 제공해 준다"고 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미생물학회가 발행하는 저널인 '엠바이오'(mBio)에 실렸습니다.

(사진=Quinn McFrederick/UCR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