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재택 치료, 확진자의 40%까지 높인다…보완점 '수두룩'

<앵커>

확진자 수가 이렇게 늘어나면서 병상이 부족해지고 있다 보니, 정부는 재택 치료 비율을 확진자의 40%까지 올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재택 치료를 어떻게 하는지도 공개했는데 보완할 점들이 적잖이 보였습니다.

이 소식은, 장훈경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영등포구의 재택 치료 협력 병원입니다.

의사 5명과 간호사 4명이 24시간 당직을 돌며 재택 치료자 100여 명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오전과 오후 하루 2번, 스마트폰 어플과 전화 통화를 통해 환자의 체온과 산소포화도 등을 확인합니다.

[김선미/간호사 : 38도 넘으셨으면 혹시 상비약 가지고 계신 것 있으세요? 1~2시간 뒤에 증상 괜찮아지시는지 한 번 더 확인할게요.]

재택 치료자들은 지자체에서 해열제, 감기약, 체온계,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이 들어간 재택 치료 키트를 받습니다.

산소포화도가 94% 이하로 떨어지고, 의식 저하 등이 일어나면 곧바로 상급 병원에 이송해야 합니다.

어제 0시 기준 재택 치료자는 5천118명으로 일주일 전보다 1천900명 가까이 늘었는데, 정부는 재택 치료 비율을 확진자의 4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보완할 점이 적지 않습니다.

정식 입원 환자가 아닌 만큼 협력 병원이 직접 약을 주지 못해 약 처방과 복용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이재갑/한림대 감염내과 교수 : 보건소에서 처방전을 팩스로 받아서 근처에 있는 약국에서 약을 받아서 환자한테 배송하는데 야간의 경우에는 약국이 열리지 않은 경우도 있고….]

재택 치료 확대에 맞춰 장기적인 인력 확충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는데, 정부는 지역 의원급 병원도 단기 진료를 제공하게 하고 모듈형, 이동형 병상 추가 확보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