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탈탄소 시계' 빨라졌다…비용 · 대체 기술이 '과제'

<앵커>

석탄 덜 때고 탄소 배출 줄이자는 데 우리 정부는 이미 동참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목표도 제시했죠. 다만 그 비용과 산업계 반발 문제 등을 어떻게 풀어낼지가 큰 숙제로 남아있습니다.

이어서, 김정우 기자입니다.

<기자>

탄소 순배출량을 오는 2030년까지 40% 감축하고, 2050년에는 0으로 만들겠다는 것이 우리 정부가 발표한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신규 석탄발전소 허가 중단은 물론, 기존의 석탄발전소까지 폐기한다는 강수를 뒀습니다.

문제는 비용입니다.

우리나라는 탄소 배출량이 많은 철강·화학 등 제조업 비중이 27%로 유럽연합이나 미국보다 2배 이상 높습니다.

철강, 시멘트, 석유화학 분야의 탄소 배출량을 최대 95%까지 감축한다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적지 않은 비용이 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것인데, 정부는 아직 정확한 소요 비용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주요 선진국의 경우 앞으로 10년 안에 수백조 원 규모를 투자한다고 밝힌 점에 비춰볼 때 우리 역시 2050년까지는 천문학적인 예산 투입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게다가 탈탄소를 위한 대체 기술도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아 산업계의 반발도 만만치 않습니다.

철강업계에서 탈탄소를 위해 개발 중인 수소환원제철 기술이 그나마 현실화 가능성이 높은데, 그마저도 2030년 이후에야 상용화가 가능하다는 것이 업계 전망입니다.

[류성원/전경련 산업전략팀장 : 선진국들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아직 산업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거든요. 탄소 감축 기술이 대부분 2030년 이후에 상용화될 걸로 감안하면 기업들이 감내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런 우려에 대해 탄소중립위원회는 "모든 해결책이 완비된 상태라고 보기 어려워 이제부터 지혜를 모아 함께 풀어나가야 할 과제"라고 밝혔습니다.

▶ '중단' 대신 '감축'…"기후 참사의 문 두드리고 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