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프간전 통역사의 '쓴소리'…"사람 사는 곳 아닌 전쟁터로 착각"

아프간전 통역사의 '쓴소리'…"사람 사는 곳 아닌 전쟁터로 착각"
아프가니스탄 전쟁 기간 현지에서 미군 통역사를 지낸 아프간계 미국인이 미국의 패전에 쓴소리를 내놨습니다.

2010∼2012년 아프간에서 미군 및 아프간 특수작전부대 전투 통역사로 일하고 미 국무부 아프간 친화 과정팀의 의장을 지낸 바크타쉬 아하디는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에서 미국의 문화적 문맹이 결국 실패로 귀결됐다고 진단했습니다.

아하디는 '왜 이 미친 듯한 혼란이 불가피한가', '어떻게 아프간이 그렇게 빨리 붕괴했나'라는 미국인의 질문을 안다면서 "문화"를 답으로 제시했습니다.

"탈레반과 미국·서방을 비교할 때 다수 아프간인은 항상 탈레반을 두 가지 악 중 차악으로 바라봤다"고 주장했습니다.

미국이 어떤 가치와 생각이 아프간인의 마음을 움직이고 채울 수 있는지 파악하지 않은 채 도로와 학교, 정부기관 건설로 한 게 결국 아프간인에게 소외감을 안겨줬다는 것입니다.

또 아프간인과 서방과의 유일한 접촉점이 중무장 전투부대를 통한 것이었다며 "미국인은 이곳을 사람 사는 곳이 아닌 단지 전쟁터로 착각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아하디는 "많은 아프간인 관점에서 볼 때 미국인은 몇 주에 한 번씩 검은 하늘에서 내려와 항상 분열을 초래하는 외계인이었을지 모른다"며 "아프간인을 위해 뭐가 합당한 지 이해 못 했다"고 꼬집었습니다.

탈레반이 20년간 영향력을 유지한 것이 놀랍지도 않다는 것입니다.

아하디는 "머지않아 미군은 2001년 침공했던 것과 같은 이유로 아프간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알카에다와 IS 등 테러 세력이 재편되는 상황에서 미국의 배신을 감안하면 다음엔 지지를 받기 더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단지 아프간에 대한 것만이 아니다"라며 "문화적 문맹에 관한 한 미국은 상습범으로, 이라크 문화도 이해하지 못했기에 지금 많은 이라크인은 이란을 두 악 중 덜한 것으로 보고 있고, 베트남에서도 그들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