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가계부채 위험에 '대출 조이기' 확산…"서민 보완책 필요"

<앵커>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을 중단하는 은행들이 속속 나오고 있습니다. 가계부채가 지나치게 빠르게 증가한다는 판단에 금융당국이 은행들을 압박한 결과로 보이는데 전체 금융권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큽니다.

김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NH농협은행은 오는 24일부터 11월까지 모든 부동산 담보 신규 가계대출을 중단했습니다.

농협은행의 가계대출이 작년 말 대비 7% 넘게 올라 5에서 6%인 금융당국의 관리 요구 수준을 넘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우리은행도 3분기 대출 한도가 이미 찼다며 다음 달 말까지 전세자금대출 신규 취급을 중단했고 SC제일은행 역시 주택담보대출 일부 상품 판매를 중지했습니다.

대출 중단을 선언하는 은행은 늘어날 거라는 전망입니다.

[김상봉/한성대 경제학부 교수 : 몇몇 은행이 시작하더라도 나머지 은행에서도 총량규제 똑같이 받거든요. 다시 전체 은행으로 퍼지는 거죠.]

이런 대출 옥죄기는 가계 대출이 지난 1분기 잔액 1천700조 원에 육박할 만큼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1년 새 9.5%나 늘어 정부의 증가율 목표치 5~6%를 훌쩍 뛰어넘었습니다.

자칫 미국의 돈줄 죄기와 그에 따른 우리 금융당국의 조기 금리 인상과 맞물리면서 자칫 경제 위기의 뇌관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입니다.

[김소영/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 자영업자, 가계 등이 어려워져서 추가 대출을 할 가능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 대출 이자가 증가해서 기존 대출자의 경우 이자가 늘어나면서.]

하지만 이런 대출 옥죄기가 당장 돈이 급한 서민 계층을 더 열악한 제2금융권이나 불법 사채로 내몰 수 있는 만큼 서민 정책금융 확대 등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