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국 산불 연기로 코로나19 감염자와 사망자 증가"

지난해 미국 서부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이 결과적으로 코로나19 감염을 확산시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하버드대 연구팀은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서 지난해 산불이 극심했던 서부 지역을 분석해 코로나19 환자 중 20% 가까이가 산불 연기와 연관 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일간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이 연구에서 워싱턴주 휘트먼 카운티의 코로나19 확진자 18.2%, 캘리포니아주 뷰트 카운티의 코로나19 확진자 17.3%가 산불이 발생한 날 악화한 대기질과 연관성이 있었습니다.

캘리포니아주와 워싱턴주의 일부 카운티들은 특히 지난해 산불로 큰 피해를 본 곳입니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산불 연기를 피하기 위해 대피소의 실내에 모여 있었던 것이 코로나19의 감염 확산을 유발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연구팀은 또 산불 연기의 증가와 코로나19로 인한 사망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지름 10마이크로미터(㎛) 크기 미세먼지의 증가가 코로나19 사망자를 8.4% 늘어나도록 하는 데 연관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뷰트 카운티의 경우 코로나19 사망자의 41%가 산불 연기와 관계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뷰트 카운티에서는 최근까지 코로나19로 1만4천 명이 확진됐고 200명이 사망했습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프란체스카 도미니치 하버드대 생물통계학 교수는 코로나19와 산불 연기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전 세계가 산불에 계속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정말 무서운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네바다주의 사막연구소가 올해 내놓은 연구 보고서에서도 산불 연기가 심하게 발생했던 기간에 네바다주 와슈 카운티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앞서 대기질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연기 입자가 바이러스를 실어나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왔습니다.

워싱턴주 보건당국의 대기질 전문가로 지난해 산불 연기와 코로나19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내놓은 케이틀린 켈리는 "코로나19에 감염돼 있을 경우 산불 연기를 호흡하면 증상이 악화할 수 있거나 호흡기 감염에 더 취약해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