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탄소중립위, 2050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공개…최소 96%↓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위원회는 에너지, 산업, 수송 등 각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담은 3개 시나리오 초안을 오늘(5일) 공개했습니다.

탄소중립위의 시나리오 1안이 이행에 옮겨지면 2050년 온실가스 순배출량은 1천540만t으로 2018년에 비해 96.3% 줄고, 2안의 경우에는 97.3% 감축된 1천870만t의 온실가스만이 배출됩니다.

3안은 온실가스 순배출량인 0인 이른바 '넷제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시나리오별 두드러진 차이는 에너지 부문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시나리오 1안은 석탄·LNG(액화천연가스) 발전 등 기존 에너지원을 일부 활용하면서 CCUS(탄소 포집·저장·활용) 등 친환경 기술을 적극 활용해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2018년보다 96.3% 줄이는 내용입니다.

석탄발전 비중을 현재의 41.9%에서 1.5%로, LNG 발전 비중을 26.8%에서 8.0%로 줄이는 반면, 재생에너지는 5.6%에서 56.6%로, 연료전지는 0.3%에서 9.7%로 각각 늘린다는 계획입니다.

시나리오 2안은 석탄발전은 완전히 중단하되, LNG 발전은 에너지 불안정을 대비해 유지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대신 재생에너지와 연료전지 활용을 끌어올려, 에너지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3천120만t으로 88.4% 줄어듭니다.

시나리오 3안은 석탄, LNG와 같은 화석연료를 활용한 발전의 전면 중단을 통해 '넷제로'를 달성한다는 목표입니다.

전력 공급의 대부분인 70.8%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수소터빈, 암모니아 발전과 같은 무탄소 신전원의 비중을 21.4%로 대폭 확대해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를 달성한다는 겁니다.

3가지 시나리오에서 원전 비중은 6.1%∼7.2%로, 2018년의 23.4%보다 크게 줄지만, 시나리오별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탄소중립위는 산업 부문에선 철강업의 기존 고로를 모두 전기로로 전환하고, 석유화학·정유업의 경우 전기가열로 도입, 바이오매스 보일러 교체 등을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한다는 계획입니다.

수송 부문에서는 전기·수소차 같은 무공해차가 전체 차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2050년까지 76∼97%로 늘림으로써 수송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88.6∼97.1% 감축한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아울러 그린리모델링 확산과 제로에너지빌딩 인증 대상 확대, 영농법 개선·식단 변화 및 대체 가공식품 확대, 1회용품 사용 제한·재생원료 사용 등을 통해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해나간다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탄소중립위는 이번에 제시한 시나리오 초안에 대해 각계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며, 정부 최종안은 탄소중립위와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오는 10월 말 발표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