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송영길 민주당 대표가 친문 강성 지지층 표현에 대해서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낙연, 정세균 두 대선 주자는 송 대표의 사과를 요구했고, 당원 게시판엔 수백 건의 비판글이 달렸습니다.
강청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송영길/민주당 대표 (어제 관훈클럽 토론회) : 소위 대깨문이라고 떠드는 사람들이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 된다 누가 되면 차라리 야당이 되겠다 이런 안이한 생각을 하는 순간, 문재인 대통령을 지킬 수도 없고…]
어제(5일) 관훈토론회에서 나온 송영길 민주당 대표의 이 발언을 놓고 당내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낙연 후보 측 대변인인 오영훈 의원은 송 대표는 '대깨문'이라는 용어를 써 당원들에 모욕감을 줬다며 사과를 요구했고, 이 후보 역시 우려를 표했습니다.
[이낙연/민주당 경선 후보 : 오영훈 대변인이 저의 생각을 잘 대변하셨다고 생각합니다. (당) 대표는 좀 더 신중했으면 좋겠습니다.]
정세균 후보도 송 대표가 당 지지자들을 비하하는 의미로 악용되는 표현을 썼다며 즉각 사과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정세균/민주당 경선 후보 (오늘,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 : 당 대표의 발언은 좀 신중하고 무거웠으면 좋겠어요. 특정 당원들을 공격하거나 아니면 또 옹호하거나 이런 것보다는 (포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청와대 정무수석을 지낸 최재성 전 의원도 "당 대표가 최대 리스크"라며 송 대표 비판에 가세하고 당원 게시판에 수백 건 이상의 비판 글이 올라왔습니다.
비판이 이어지자, 송 대표는 "'대깨문'은 강성 지지층이 스스로 사용했던 용어로 당이 하나 되자는 취지"였다고 급히 진화에 나섰지만, 당분간 후폭풍이 이어질 거란 전망이 우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