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당국 "노바백스 백신 도입 일정은 허가 신청 뒤 논의 가능"

당국 "노바백스 백신 도입 일정은 허가 신청 뒤 논의 가능"
코로나19 백신 가운데 노바백스의 경우 아직 국내 도입 일정이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오늘(5일) 코로나19 백브리핑에서 "지난달 미국의 3차 임상 중간결과 발표로 보면 조만간 FDA(미국 식품의약국)에 승인 신청을 하지 않을까 싶은데 우선 승인 신청이 들어가야 허가가 나고 그래야 도입 일정을 논의할 수 있다"며 "현재로서는 (노바백스 측의 FDA) 허가 신청을 기다리고 있는 단계"라고 밝혔습니다.

손 반장은 "노바백스의 경우 허가 과정 상에서 진전이 느려지고 있다"며 "아직 허가 신청이 안 들어오는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정부는 노바백스와 2천만 명분의 백신을 도입하기로 구매계약을 체결한 상태로, 앞서 이 중 일부 물량이 상반기에 들어온다고 발표한 바 있는데, 미국 현지에서 허가가 늦어지면서 노바백스 백신은 아직 국내에 도입되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정부는 노바백스 백신을 제외하더라도 하반기 접종 물량은 충분하다는 설명입니다.

정부는 최근 국내에서도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가 늘어나면서 유전자 증폭(PCR) 검사로 델타 변이를 찾아내는 방법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손 반장은 관련 질의에 "PCR만으로 유전체 분석 결과를 대체할 수 있는지를 질병관리청이 내부적으로 검증하고 있을 것"이라며 "며칠 걸리더라도 유전체를 분석하는 것으로 (델타 변이 감염 여부를) 봐야 하는데, 더 빨리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는지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수도권은 기초역학조사서 입력률을 주 1회 공개하도록 한 배경에 대해서는 "기초역학조사서 입력이 낮아지면 낮아질수록 검사가 제대로 되는지 검증하기 어렵고, 유행 분석도 어려워 정교한 대처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