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SIPRI "북, 핵탄두 40∼50개 보유…작년보다 10개 증가"

SIPRI "북, 핵탄두 40∼50개 보유…작년보다 10개 증가"
북한이 올해 1월 기준 40~50개의 핵탄두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스웨덴 싱크탱크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가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난해보다 10개가량 증가한 수치입니다.

연구소는 연감을 통해 북한을 포함해 미국과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등 9개국을 핵보유국으로 분류했습니다.

연수고는 다만 북한이 핵탄두 보유와 관련해 어떤 정보도 공개하지 않고 있고, 핵분열 물질 배출량에 근거해 추산한 불확실한 자료라는 점을 들어 추정치라는 단서를 달았습니다.

같은 이유로 북한이 보유한 핵탄두의 수는 세계 전체 핵탄두 수에도 합산되지 않았습니다.

연구소는 "북한이 국가안보 전략의 핵심 요소로서 핵무기 프로그램을 계속 증진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은 지난해의 경우 핵탄두 폭발 실험이나 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은 하지 않았지만 핵물질 생산과 단거리·장거리 미사일의 개발은 계속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보고서에는 북한이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단거리·중거리·중장거리 지상 미사일 종류도 기술됐습니다.

연구소는 "북한이 충분히 작은 핵탄두를 제조할 수 있다는 추정 하에, 노동미사일이 크기와 사거리, 운영 상황을 고려할 때 핵 운반 역할을 맡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북한은 신뢰할 만한 대기권 재진입 수단이나 핵탄두 활성화 역량을 보인 적이 없다"며 "추가 개발 없이 북한 미사일이 핵탄두를 대륙 간 거리에 있는 목표까지 운반할 수 있는지 불확실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연구소는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의 개발·배치 현황에 관해선 "자국 핵능력 탄도미사일 체계의 생존력을 높이기 위해 고체연료 SLBM체계 개발을 지속해서 추구한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전 세계 핵탄두 수는 1만3천80개로, 지난해보다 320개 줄었습니다.

그러나 해체 예정인 핵무기를 제외한 실제 핵탄두 수는 9천620개로 지난해 9천380개보다 오히려 늘었다고 연구소는 지적했습니다.

실전 배치된 핵무기 역시 올해 초 기준 3천825개로 지난해 3천720개보다 증가했습니다.

연구소는 "전체적인 핵탄두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우려된다"며 "1990년대 냉전 종식 이후 이어진 핵무기 축소 추세에 변화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라고 했습니다.

(사진=조선중앙TV 화면,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