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작년 세금 · 연금 · 보험료 등 1인당 국민부담액 1천19만 원

작년 세금 · 연금 · 보험료 등 1인당 국민부담액 1천19만 원
지난해 국민 1인당 1천19만 원 꼴로 세금과 연금, 보험료를 부담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이 각 기관으로부터 받은 국세, 지방세(잠정치), 사회보장기여금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지난해 총 국민부담액은 527조7천억 원이었습니다.

이는 2019년 523조4천억 원보다 0.8% 증가한 수치입니다.

국민부담액은 조세총액과 사회보장기여금 등 국민이 나라에 낸 돈을 합해 계산합니다.

조세총액은 국세와 지방세로 구성되며, 사회보장기여금에는 4대 공적연금(국민연금·공무원연금·군인연금·사학연금)과 보험(건강보험·고용보험·산업재해보험·노인장기요양보험)의 기여금·보험료가 포함됩니다.

지난해 조세총액은 377조7천억 원이었습니다.

국세가 285조5천억 원, 지방세가 92조2천억 원입니다.

코로나19 위기 여파로 지난해 조세총액은 2019년의 384조 원보다 1.6% 줄었습니다.

반면 사회보장기여금은 150조 원으로 전년(139조4천억 원)보다 7.6% 늘었습니다.

건강보험이 62조5천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연금이 51조2천억 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국민부담액이 차지하는 비율인 국민부담률은 27.4%로 전년(27.3%)보다 0.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총 국민부담액을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상 지난해 인구 수(5천178만1천 명)로 나눈 '1인당 국민부담액'은 1천19만997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1천12만2천29원)보다 0.7% 늘었습니다.

1인당 조세부담액이 729만4천181원, 1인당 사회보장기여금 부담액이 289만6천815원이었습니다.

추 의원은 2020∼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과 중기지방재정계획, 국회 예산정책처 4대 공적연금 장기재정전망, 연금·보험 관련 각 기관 전망 등을 통해 2024년까지의 국민부담액 추이도 분석했습니다.

총 국민부담액과 국민부담률, 1인당 국민부담액은 향후 계속 증가할 전망입니다.

총 국민부담액은 지난해 527조7천억 원에서 올해 553조7천억 원, 내년 580조5천억 원으로 늘어납니다.

2023년에는 608조6천억 원으로 처음 600조 원을 돌파한 뒤 2024년 632조 원을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부담률 역시 작년 27.4%에서 올해 27.6%, 내년 27.8%, 2023년 28.1%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다만 2024년에는 28.0%로 내려갈 전망입니다.

1인당 국민부담액은 지난해 1천19만 원에서 올해 1천68만 원, 내년 1천120만 원, 2023년 1천173만 원, 2024년 1천218만 원이 될 것으로 추산됩니다.

추 의원은 "현 정부 들어 급속히 늘어난 국가채무에 더해 전 국민의 조세·준조세 부담까지 빠르게 늘고 있다"며 "미래 청년세대는 빚과 세금 속에서 허덕이게 생겼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유토이미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