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찰, '마지막 단서' 故 손정민 신발 찾기에 수사력 집중

경찰, '마지막 단서' 故 손정민 신발 찾기에 수사력 집중
경찰이 최근 발견된 고 손정민 씨 친구 A씨의 휴대전화에서 범죄 정황을 의심할 만한 내용이 확인되지 않자 사망 원인을 밝혀줄 사실상 마지막 단서인 손 씨의 신발을 찾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손 씨는 실종 닷새 만인 지난 4월 30일 반포한강공원 수상택시 승강장 인근 한강 수중에서 양말만 신은 채 발견됐습니다.

이 양말에는 흙이 잔뜩 묻어 있는 상태였습니다.

경찰이 흙이 어디서 묻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토양 성분 분석을 의뢰한 결과 한강 둔치에서 약 10m 떨어진 강바닥의 흙 성분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곳의 수심은 약 1.5m로 손 씨가 서 있었다면 턱 위까지 물이 찰 정도의 깊이입니다.

양말에 묻은 흙은 한강변이나 둔치에서 5m 떨어진 강바닥 지점의 토양 성분과는 다르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손정민 씨 시신에서 발견된 양말

이 때문에 손 씨가 강으로 걸어 들어가다가 신발이 벗겨졌고 이후 익사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손 씨 양말의 흙과 유사한 성분이 확인된 지점은 목격자들이 손 씨로 추정되는 남성의 입수 지점으로 지목한 곳과 그리 멀지 않다는 점도 가능성에 무게를 더합니다.

손 씨 실종 당일인 4월 25일 오전 4시 40분쯤 한강변에서 낚시를 하고 있었다는 목격자 7명은 '한 남성이 물속으로 수영하듯 걸어 들어가는 모습을 봤고, 시원하다는 듯이 낸 소리를 들었다'고 진술했습니다.

다만 당시 이들이 본 입수자가 손 씨인지는 정확히 특정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경찰은 추가 목격자 진술과 주변 폐쇄회로(CC)TV 분석을 통해 입수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중입니다.

손 씨 양말에 묻은 흙과 유사한 성분이 발견된 지점은 강바닥에 펄이 쌓여 있어 발이 빠지면 들어 올리기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손 씨는 당시 일반적인 흰색 운동화를 신었는데, 발을 뺄 때 벗겨졌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이 지점의 유속 등을 고려했을 때 신발이 강물에 떠내려갔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조원철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명예교수는 "반포한강공원 둔치 10m 부근의 유속은 초속 수㎝에 불과할 정도로 느리다"며 "신발이 그 안쪽의 강바닥에 박혀 있을 가능성이 높고, 떠내려갔더라도 멀리 가지 않았을 것"이라고 추론했습니다.

실제로 신발이 둔치로부터 10m 주변에서 발견된다면 손 씨가 신발을 신은 채 강으로 걸어 들어갔다가 도중에 신발이 벗겨졌다는 추론에 힘이 실리는 셈입니다.

신발이 어떤 형태로 파묻혀 있는지는 사건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는 데 참고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신발이 발견되더라도 손 씨의 입수 경위까지 설명해주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친구 A씨는 과음으로 인한 '블랙아웃'으로 손 씨와의 만남 직후부터 약 7시간의 상황이 대부분 기억나지 않는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밝혀 왔습니다.

둘의 휴대전화를 디지털 포렌식하면서 A씨 가족과 목격자 등 사건 관련자를 다각도로 조사한 경찰도 A씨에게 살인은 물론 과실치사 등 어떤 범죄 혐의점을 적용할 만한 의심 정황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사진=서울경찰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