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작물 재배 지도 바뀐다…아열대 한반도, 어떻게 해야?

<앵커>

전남 해남에서 애플망고를 키우고, 강원도 산골에서 사과를 키우고, 기후변화로 작물 재배 지도가 바뀌고 있습니다. 이상고온 현상이 잦아지면서 이제는 한반도가 아열대라는 말이 낯설지 않을 정도인데, 이런 기후변화로 우리가 감당해야 하는 것들도 늘고 있습니다.

임상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양파와 마늘 산지였던 전라남도 해남 땅끝마을에 애플망고 농가가 하나, 둘 늘더니 벌써 여섯 곳입니다.

청년 농부 박홍민 씨는 아열대 과일에 승부를 걸었고, 농법을 체계적으로 배우려고 아버지와 함께 농업대학 아열대학과에 입학했습니다.

[박홍민/장성군 미래농업대학 아열대학과 신입생 : 아열대 작물 중에 '열매마'라고 있는데 저 같은 초기 예비 농업인한테 맞는 작물이라고 생각해서. 아버지랑 같이 농사도 짓고.]

한반도의 평균 기온은 10년 주기로 대략 0.3도씩 오르고 있습니다.

월평균 기온이 10도가 넘는 달이 연중 8개월 이상이면 '아열대 기후대'라고 하는데, 현재는 남한 지역의 10% 수준이지만 2080년에는 62.3%까지 늘어날 전망입니다.

아열대 과일 재배 면적이 지난 10년 새 5배 증가하는 동안, 온대 과일 재배지는 빠르게 북상했습니다.

우리에게 친숙했던 대구 능금, 청도 복숭아, 진영 단감은 명성을 잃어 가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런 변화가 농산물 산출과 가격 안정을 위협한다는 것입니다.

2월에 꽃이 피고, 4월에 서리가 내리고, 가뭄기인 5월에는 장마가 오고, 태풍 오던 9월에는 폭염이 계속되는 이상기후에 밥상 물가가 요동치는 일이 잦아졌습니다.

병충해 양상도 바뀌었습니다.

충남 예산의 고추 농가들은 꽃노랑총채벌레로 비상이 걸렸고, 제주도의 감귤 농장들은 볼록총채벌레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수입이나 대체 작물에 의존해야 하는 '식량 안보' 위기가 올 수 있는 만큼 서둘러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