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작년 4분기 2030 임금근로일자리 9만 개 사라져…5060은 55만 개↑

작년 4분기 2030 임금근로일자리 9만 개 사라져…5060은 55만 개↑
지난해 4분기 30대 이하 청년층의 임금근로 일자리가 9만 개 넘게 사라진 사이 50대 이상 노년층의 일자리는 55만 개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영향 등으로 제조업, 숙박·음식업에서 일자리 감소세는 계속됐지만, 정부 일자리 사업 증가에 공공행정 일자리는 2018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이 증가했습니다.

오늘(27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0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11월 기준)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천958만9천 개로 전년 동기 대비 50만3천 개(2.6%) 증가했습니다.

임금근로 일자리 증가 폭은 코로나19 상황이 가장 심각했던 작년 2분기(+21만1천 개) 이후 3분기(+36만9천 개) 등 점차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이 같은 증가세는 중·노년층에서 두드러졌습니다.

60대 이상 임금근로자 수가 39만2천 개(15.7%) 늘었습니다.

2018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증가입니다.

50대는 15만6천 개(3.7%), 40대는 4만6천 개(1.0%) 각각 늘었습니다.

반면 청년층인 30대 이하에서는 9만 개 넘게 사라졌습니다.

30대 임금근로 일자리는 1년 전보다 6만8천 개(-1.5%) 감소했는데, 다섯 분기 연속 감소입니다.

20대 이하는 2만3천 개(-0.7%) 감소했고, 네 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김진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20대 이하는 제조업과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등에서 감소 폭이 컸고, 30대는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등에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성별로는 남성 일자리(1천127만5천 개)가 15만7천 개, 여성 일자리(831만5천 개)가 34만6천 개 각각 늘었습니다.

전체 일자리 대비 성별 비중은 남성이 57.6%, 여성이 42.4%를 차지했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일자리 비중이 21.2%로 가장 큰 제조업에서 전년 동기 대비 6만6천 개의 일자리가 줄었습니다.

기계장비(-9천 개), 금속가공(-8천 개), 기타 운송장비(-8천 개) 등이 감소한 영향입니다.

제조업 일자리는 생산 부진 영향으로 2019년 4분기부터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는데, 작년 2분기(-6만5천 개), 3분기(-8만7천 개)에 이어 높은 감소폭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숙박·음식(-5만1천 개), 예술·스포츠·여가(-5천 개), 운수·창고(-3천 개) 등에서도 일자리가 줄었습니다.

반면 공공행정일자리는 24만5천 개 증가했습니다.

2018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증가폭입니다.

보건·사회복지(+15만8천 개), 전문·과학·기술(+6만9천 개), 교육(+3만7천 개) 등에서도 늘었습니다.

김진 과장은 "공공행정의 경우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일자리 사업을 다양하게 실시함에 따라 크게 상승했다"며 "여성과 60대 이상, 50대를 중심으로 많이 증가했는데, 이번에는 남성과 20대 이하, 40대에서도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고 말했습니다.

조직 형태별로는 정부·비법인 단체에서 제공한 일자리가 30만2천 개, 회사이외의 법인에서 21만3천 개, 회사법인에서 3만7천 개 증가했습니다.

반면 개인 기업체는 4만8천 개 감소했습니다.

세 분기 연속 감소로, 제조업, 숙박음식점업, 건설업을 중심으로 줄어들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습니다.

전체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회사법인이 55.3%로 가장 많았고, 개인 기업체는 16.3%, 정부·비법인단체 15.1%, 회사이외의 법인은 13.3%의 일자리를 제공했습니다.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 가운데 작년 동기와 같은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천357만3천 개(69.3%)였습니다.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06만 개(15.6%), 신규 일자리는 295만7천 개(15.1%), 소멸 일자리는 245만4천 개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