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가계는 여전히 코로나 그늘…근로 · 사업 · 재산소득 모두 감소

가계는 여전히 코로나 그늘…근로 · 사업 · 재산소득 모두 감소
올해 1분기(1∼3월) 가계의 근로·사업·재산소득이 한꺼번에 감소했습니다.

1분기 경제 규모는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했지만, 가계에는 아직 온기가 미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오늘(20일) 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가계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 월평균 소득은 438만 4천 원으로 1년 전보다 0.4% 증가했습니다.

가계가 실제로 벌어들이는 소득은 줄었으나 재난지원금 등 이전소득이 증가한 영향으로 전체 소득이 소폭 늘었습니다.

그러나 근로소득(277만8천 원)은 작년 동기 대비 1.3% 줄었습니다.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감소 폭입니다.

특히 전체 소득 대비 비중이 가장 큰 근로소득의 경우 통계 개편 전 기준으로 보면 감소세가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2인 이상 가구(비농림어가) 월평균 근로소득(340만 5천 원)은 1년 전보다 3.5% 급감하면서 4분기 연속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사업소득(76만 7천 원)은 1.6% 감소했고 재산소득(3만 3천 원)도 14.4% 줄었습니다.

이처럼 가계의 근로·사업·재산소득이 한꺼번에 감소한 것은 코로나19로 가계소득이 직격타를 맞은 지난해 2분기 이후 처음입니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코로나19의 재확산에 따라 음식·숙박 등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감소한 가운데 자영업 업황 부진의 영향 등으로 근로·사업소득이 동시에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전반적으로 근로·사업소득이 감소하고 5분위 전체 소득도 위축되는 등 시장소득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반면 이전소득(72만3천 원)은 16.5% 증가했습니다.

1분기 기준으로 2007년 이후 14년 만에 최대 증가 폭입니다.

특히 정부가 지급하는 지원금과 수당 등을 포함한 공적이전소득(49만7천 원)이 27.9% 급증했습니다.

소상공인 버팀목자금과 긴급고용안정지원금 등 3차 재난지원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