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외국인에 대한 한국인 시선 따뜻해졌지만…중국만 예외"

"외국인에 대한 한국인 시선 따뜻해졌지만…중국만 예외"
지난 10년간 한국인이 외국인에게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이 크게 줄었지만 중국인을 보는 시선은 더 냉담해졌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이민정책연구원 주최로 열린 '세계인의 날 기념 이주·사회통합 정책 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하고 한국인의 대 이주민 사회적 거리감이 아직 제대로 개선되지 못한 상황이라고 오늘(20일) 지적했습니다.

김 교수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동남아인, 대만인, 일본인, 북미인, 유럽인의 한국인 사회적 거리감 점수는 2008년과 비교해 2018년에 낮아졌지만 중국인 사회적 거리감 점수는 0.80점에서 0.86점으로 높아졌습니다.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사진=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김석호 교수 발표문 중 캡처, 연합뉴스)

외국인 사회적 거리감은 이들을 방문객, 직장동료, 이웃, 친척, 가족 등으로 각각 받아들일 수 있는지를 물어 측정됩니다.

점수가 1에 가까울수록 해당 집단을 더 껄끄럽게 느끼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김 교수는 연령, 학력, 소득수준에 따라 외국인을 바라보는 시선에 큰 편차가 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김 교수는 "60대의 경우 중국, 동남아, 대만, 일본, 북미, 유럽 출신 외국인 거리감이 큰 차이가 없었지만 20대는 중국인 거리감(0.71점)과 북미인 대한 거리감(0.32)간 편차가 컸다"고 지적했습니다.

소득수준별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인식 (사진=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김석호 교수 발표문 캡처, 연합뉴스)

아울러 그는 "학력별로 전문대졸 이상·4년제 대졸 이상, 소득 수준별로는 월평균 소득 400만원 이상 집단이 중국인과 북미·유럽인에게 느끼는 거리감의 편차가 컸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교수는 "지난 10년간 한국 사회에서 이주민은 급속도로 증가했지만 이주민 사회적 거리감은 그 속도만큼 좁아지지 못했다"며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이주민 사회통합을 위한 심층적인 연구와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사진=이민정책연구원 제공,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김석호 교수 발표문 중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