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난해 지갑 닫은 계층은 빈곤 · 부유층도 아닌 중산층

지난해 지갑 닫은 계층은 빈곤 · 부유층도 아닌 중산층
지난해 코로나19 국면에서 소비를 가장 크게 줄인 계층은 빈곤층도 부유층도 아닌 중산층이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등 시장에서 벌어들이는 소득이 크게 줄었지만 정부의 각종 지원 대상에서는 배제되면서 지갑을 닫는 방식으로 대응했던 것입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남창우 연구위원과 조덕상 전망총괄이 작성한 '코로나19 경제위기와 가계소비'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소득 상위 40~60%에 해당하는 3분위 가구의 소비지출이 6.8% 감소했습니다.

이는 전체 가구의 지출 감소율인 2.8%의 배를 넘는 수준입니다.

소득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소비지출 감소율이 4.2%, 소득하위 20~40%인 2분위 가구는 3.3%로 뒤를 따랐습니다.

소득 상위 20%까지인 부유층의 소비는 0.8% 줄어드는데 그쳤습니다.

소득 하위 20%인 빈곤층의 소비는 2.8% 늘었습니다.

지출을 늘린 유일한 분위입니다.

가계의 지출 규모만 놓고 보자면 부유층은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가운데 소득 기준으로 한가운데인 3분위, 중산층으로 분류할 수 있는 4분위가 지난해 소비 감소를 주도했던 것입니다.

소득 분위별로 이처럼 지출 증감률이 차등화된 이유 상당 부분을 결국 정부의 재난지원금에서 찾는 시각이 많습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경우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재산소득을 합산한 시장소득이 지난해 6.1% 줄었으나 정부의 재난 지원금 등이 반영된 공적 이전과 세금 등 비소비지출까지 감안한 가처분 소득은 7.5% 늘었습니다.

코로나19의 타격을 가장 크게 받았지만 정부의 보편·선별 지원금을 받아 평균소득이 늘었고 이는 지출을 더 늘릴 수 있는 배경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2분위 역시 시장소득이 1.9% 줄었지만 가처분소득이 4.6% 늘었습니다.

이에 비해 3분위는 시장 소득이 2.7% 줄어든 가운데 가처분소득은 2.0% 늘어나는데 그쳤습니다.

4분위 역시 시장소득이 1.2% 줄어든 상황에서 가처분 소득은 2.2% 느는데 그쳤습니다.

3분위와 4분위 모두 전체가구 평균 가처분소득 증가율인 3.3%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특히 3분위는 가처분 소득 증가율이 소득 5분위 중 가장 낮았습니다.

KDI 남창우 연구위원은 중간소득 계층인 3분위와 4분위가 코로나19에 따른 실질적인 충격과 불확실성에 가장 크게 노출됐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중산층들은 이런 상황에서 소비지출을 큰 폭으로 줄이고 최악의 상황을 대비해 저축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했다고 부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