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금리 인상' 신호탄?…한은, 조기 인상 힘 받나

<앵커>

"경제가 과열되지 않도록 금리가 다소 올라야 할지도 모른다." 미국 재무장관이 한 인터뷰에서 한 말입니다. 코로나로 위축됐던 미국 경제가 어느 정도 회복세에 접어든 만큼 시장에 돈을 풀기보다는 이젠 기준금리를 올려서 물가가 더 뛰지 못하도록 붙잡아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됐습니다. 하지만 이 말이 나온 이후 미국 증시가 떨어지자, 재무장관은 금리 인상을 권고한 건 아니었다며 급히 수습에 나섰습니다.

미국의 이런 움직임이 우리 금융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지, 정다은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현재 우리 기준금리는 연 0.5%, 1년 가까이 역대 최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초저금리로 코로나 위기에 대응해 온 건데 몇 가지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먼저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입니다.

3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정부는 기저 효과 탓이라고 보고 있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과 함께 소비 심리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1,700조를 넘긴 가계부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고, 특히 부동산과 주식·가상화폐 시장이 과열 양상인데,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라도 금리 인상을 앞당겨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하준경/한양대 경제학과 교수 : 완화 정도가 너무 심해지지 않게 조절할 필요가 있는 거죠. 자산시장이나 돈의 흐름의 불균형이 심해질 수 있거든요. 주의 깊게 보면서 조절할 필요도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 인상은 시기상조라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흐름의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자칫 금리 인상이 경기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동락/대신증권 연구원 : 기업들 입장에선 재무적인 부담이 커지게 될 것이고요. 대출이자가 올라간다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아주 단계적으로 큰 계획을 하고 접근하지 않겠냐.]

보통 우리 기준금리는 외국인 투자금 유출을 막기 위해 미국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해온 만큼, 미국의 금리 추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물가 관리와 경기 회복, 이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하는 정책 당국의 고민이 커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성일, 영상편집 : 이소영, CG : 엄소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