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올해 WHO 승인 백신 88억 회분 생산…고소득 국가 선점 문제"

"올해 WHO 승인 백신 88억 회분 생산…고소득 국가 선점 문제"
올해 세계보건기구 WHO가 승인한 코로나19 백신이 88억 회분이 생산될 예정이지만, 고소득 국가들에 의해 이미 선점돼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2022년과 2023년에는 약 110억 회분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 전 세계 인구, 약 80억 명을 모두 접종하는데 160억 회분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공급 자체가 부족한 상황은 아니지만, 고소득 국가들의 선점이 문제라는 지적입니다.

제롬 킴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은 현지시각 29일 주독일 한국대사관과 독일 콘라드아데나워재단, 국제백신연구소가 공동으로 연 '코로나19와 공공거버넌스: 백신 접근성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글로벌 전략' 웨비나 기조발표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킴 사무총장은 "백신 생산을 전 세계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각국 의약품 심사·허가 당국의 역량 등 품질 관리 측면에서의 제약을 극복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키크부쉬 제네바국제개발대학원 글로벌보건센터장은 이날 기조발표에서 "공평한 백신의 분배는 평화와 안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민주주의적 가치 수호와 국제연대를 위해 특히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현재 백신 외교가 글로벌 연대에 기반한 다자주의적 백신 지원과 동맹·지정학적 국익에 기반한 백신 지원 등 두 가지 양태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독일 등이 크게 기여하고 있는 코백스 백신에는 지원국가의 표식이 없지만, 중국·러시아 등은 자국 지원임을 강조하고 있어 향후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장희창 국립감염병연구소장은 이날 패널토론에서 "한국이 11월까지 집단면역을 달성한다는 목표 하에 백신 수급과 접종에 속도를 내고 있다"면서 "국민들이 부작용 사례에 대해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만큼, 관련 임상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해 안심하고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웨비나는 코로나19 글로벌 백신공급·공정분배와 효과적인 국가 백신전략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한독 백신협력 필요성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기획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