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 유통체인 월마트가 유급병가를 허용했다면 코로나19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미국의 비영리단체 '휴먼 임팩트 파트너스'(HIP)는 보고서에서 월마트가 직원에게 2주간 유급병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면 코로나19 확진자를 7천500명, 사망자를 133명 줄일 수 있었을 것으로 추산했다고 영국의 일간 가디언이 보도했습니다.
HIP는 유급병가 제도를 활용했다면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6% 감소했을 것이라는 위스콘신대 연구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월마트 내부에서도 유급병가 정책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월마트의 메릴랜드주 로럴 지점에서 근무하는 한 직원은 "월마트의 병가정책에 혼란스러운 측면이 있다"면서 "직원들은 병가를 신청하면 해고될 것이라고 우려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해고당하기 싫어서 아파도 출근하는 직원이 많다"면서 "이들은 무급휴가를 내지 못할 만큼 형편이 안 좋은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직원에 따르면 월마트는 6개월 동안 다섯 번 이상 지각·결근한 직원은 해고 대상입니다.
월마트는 유급병가 대신 제공하는 '보상 유급휴가'를 1년에 최대 6일까지만 사용하도록 규정해 직원들이 아파도 울며 겨자 먹기로 일터에 나오는 경우가 많다고 이 직원은 주장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