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우주정거장서 핀 청경채 꽃에 벌 대신 붓으로 인공수분

우주정거장서 핀 청경채 꽃에 벌 대신 붓으로 인공수분
지구 저궤도의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시험 재배하던 청경채에 꽃이 피어 벌 대신 그림용 붓으로 인공수분이 이뤄졌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우주비행사들은 이전에도 ISS에서 재배된 적이 있는 '초 난쟁이' 청경채('Extra Dwarf' pak choi)를 지난 2월 초순 채소 실험재배 장치인 '베지'(Veggie)에 심어 64일간 재배했습니다.

이는 ISS 채소 재배로는 기간이 가장 길었습니다.

청경채는 종자 번식을 위해 꽃이 피기 시작했으며, 자가 수분을 비롯한 여러 가지 방법을 고민한 끝에 완벽한 수분을 위해 그림 붓을 이용해 인공수분이 진행됐습니다.

그 결과, "높은 씨앗 형성률을 보았다"고 했습니다.

종자식물은 수술의 화분이 암술머리에 옮겨붙는 수분이 필요한데, ISS의 극미중력이나 약한 중력 상태에서 수분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번 인공수분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NASA는 설명했습니다.

NASA는 올해 말 후추의 씨앗을 보내 자동화된 식물 재배 장치인 '첨단식물서식지'(APH)에 재배하고, 내년에는 난쟁이 토마토 재배 실험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케네디우주센터의 우주 작물 재배 프로젝트 담당 과학자 매트 로메인은 "우주정거장에서 지속해서 작물을 재배하는 것은 지구 저궤도를 넘어 이뤄질 미래의 우주탐사에 중요한 실증 사례가 된다"면서 "(ISS) 승무원들은 작물을 재배하고 먹는 즐거움을 만끽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식물들은 달에 장기간 상주할 때 추가 영양분을 제공하기 위해 보낼 수 있는 것들로, ISS와 달에서 알게 된 모든 것은 궁극적으로 화성으로 가면서 이용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했습니다.

(사진=NASA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