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만삭 아내 사망보험금 95억 원' 민사소송 5년 만에 재개

'만삭 아내 사망보험금 95억 원' 민사소송 5년 만에 재개
▲ 2015년 '만삭 아내 살해 사건' 현장검증 모습

보험금을 노리고 만삭 아내를 사고로 가장해 죽인 혐의를 받은 남편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보험금 지급 소송이 5년만에 재개됐습니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아내 살인 혐의와 보험사기 혐의에 대해 지난달 대법원에서 무죄가 확정된 남편 이 모(51)씨가 보험사들을 상대로 낸 보험금 지급 청구소송이 지난달 서울중앙지방법원 등에서 속행됐습니다.

이 씨는 2014년 8월 경부고속도로 천안나들목 부근에서 갓길에 주차된 화물차를 일부러 들이받아 동승한 만삭 아내(당시 24세)를 죽인 혐의 등으로 기소됐습니다.

이 씨는 아내가 사망하면 총 95억 원에 이르는 거액 보험금을 수령하게 되는 것으로 드러나 보험사기 혐의도 함께 받았습니다.

2016년 이 씨는 보험사들을 상대로 보험금 지급 청구 소송을 서울중앙지방법원과 서울남부지방법원 등에 제기했으나 당시 형사 소송이 진행 중이어서 소송이 중단됐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해 민사소송 13건이 진행 중입니다.

지난달 대법원에서 이 씨의 살인·보험사기 혐의에 모두 무죄가 확정되자, 민사소송이 곧바로 속행된 것입니다.

이 씨가 각각 삼성생명과 미래에셋생명 생명을 상대로 제기한 보험금 지급 청구 소송은 지난달 변론이 재개됐으며, 다음날에도 변론 기일이 잡혔습니다.

삼성생명, 미래에셋생명과 이씨가 계약한 보험금은 각각 31억 원과 29억 원입니다.

이 씨가 승소한다면 보험금 원금에 7년치 지연 이자까지 더해서 받게 됩니다.

이 씨와 교보생명 간 소송도 변론 기일이 지정됐습니다.

한화생명도 법무법인을 선정하고 소송 재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씨가 보험사기에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민사소송 결과를 예단하기는 힘듭니다.

이 씨의 유무죄와 무관하게 보험 가입에 부정한 의도가 있었다고 법원에서 인정된다면 계약이 무효가 되기 때문입니다.

보험금을 노리고 지인의 자살을 방조했다는 혐의를 받은 피고가 형사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는데도 사망 직전 가입된 보험 계약은 인정되지 않은 서울고등법원의 판례가 있습니다.

작년 3월에는 보험금 부정 취득 의도를 입증하는 직접 증거 없이 정황만으로도 보험계약을 무효로 판단하는 대법원 판례도 나왔습니다.

대법원은 '부정한 목적'을 판단한 정황으로 ▲ 과도한 보험계약 체결 ▲ 단기간 집중적 계약 체결 ▲ 거액 보험금 수령 ▲ 기존 계약 및 보험금 수령 관련 알릴 의무(고지 의무) 위반 ▲ 입·퇴원 횟수와 기간 등을 열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