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난달 육아 도맡은 남성 1만 3천 명으로 '역대 최다'

지난달 육아 도맡은 남성 1만 3천 명으로 '역대 최다'
지난달 육아를 도맡은 남성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도 아니고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 가운데 육아를 전담한 남성은 1만3천 명으로 1년 전보다 6천 명 늘면서 관련 통계 조회가 가능한 1999년 이래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증가 폭도 2018년 3월(6천 명) 이후 가장 컸습니다.

육아 상태인 남성은 초등학교 입학 전인 미취학 아동을 돌보기 위해 집에 있는 이들을 말합니다.

취업 중 육아휴직을 한 이들은 일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간주해 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 수치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남성 육아 인구는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10년 전(2011년 3월) 육아 상태인 남성 비경제활동인구는 3천 명에 불과했으나 올해 들어서는 1월 1만1천 명, 2월 9천 명, 3월 1만3천 명 등으로 줄곧 1만 명에 가까운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지난달 육아를 전담한 여성은 1년 전보다 9만3천 명 줄어든 111만2천 명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10년 전(148만5천 명)과 비교하면 37만3천 명 감소한 수준입니다.

절대적인 규모 자체는 여전히 여성이 훨씬 크지만, 추세적으로 보면 남성 육아 인구는 늘어나는 반면 여성 육아 인구는 줄어들고 있는 것입니다.

연령별로 보면 육아를 전담한 남성은 30∼40대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지난달 육아 상태인 남성 가운데 30대가 41.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40대가 33.4%로 뒤를 이었습니다 그 외 60세 이상(17.9%), 50대(7.5%) 등 순이었습니다.

육아 상태인 남성 가운데 10명 중 7명 이상(74.5%)은 3040 세대였던 셈으로, 은퇴한 뒤 손주를 돌보는 노인층보다 한창 일할 나이에 육아를 선택한 젊은 아빠들이 더 많았던 것으로 풀이됩니다.

육아가 여성의 몫이라는 고정관념이 점차 흐려지면서 남성 육아휴직자도 함께 늘어나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민간 부문에서 육아휴직을 낸 남성은 2만7천423명으로 전년(2만2천297명)보다 23.0% 증가했습니다.

전체 육아휴직자 가운데 남성의 비율도 24.5%로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전체 육아 상태 비경제활동인구(112만6천 명) 중 남성의 비율이 1%대에 불과한 점을 고려하면 여전히 육아 부담은 여성에게 쏠려 있는 상황입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이달 발표한 '2020년 합계출산율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여성의 경력 단절 우려와 돌봄 인프라 부족으로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지난해 합계출산율과 출생아 수가 모두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예정처는 "합계출산율 회복을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 대한 실질적인 양성평등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가족정책과 이민정책을 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