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원안위 '오염수 4대 질문'에 답변 못한 일본

원안위 '오염수 4대 질문'에 답변 못한 일본
한국 정부가 일본 측으로부터 4가지 핵심 정보를 달라고 요청했지만, 일본 정부가 답변 없이 무응답으로 일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 외교부 당국자는 오늘(13일) 기자들과 만나 "원자력안전위원회 전문가들이 일본으로부터 받아야 할 필수적 사안의 답변을 받지 못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당국자에 따르면, 일본은 오염수를 원전 부지 내 탱크에서 바다로 옮기는 구체적인 처분 방식과 방류가 시작되는 정확한 시점, 총 방류 기간, 그리고 총 처분량 등 4가지에 대해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 당국자는 "후쿠시마에서 해양 방출을 할 때 파이프를 통해서 바로 배출하는지 아니면 다른 지역을 우회하는지, 또 방출 시점은 약 2년이 소요된다고 했는데 정확히 2년 후 언제를 뜻하는지 물었다"며 "이 외에도 오염수를 정량 대비 압축해서 10년 안에 다 버릴건지, 아니면 조금 더 희석해서 30~40년을 두고 버리는 건지, 또 지금 보관하는 것 중 2년 후부터 버리게 될 총 처분량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 확인을 요청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원안위에서 요청해서 외교부가 두 차례 일본 측에 확인을 해달라고 했지만, 이 4가지 부분에 대해서는 '자신들도 아직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는 말과 함께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당국자는 그러면서 "가장 큰 문제점은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여태 다른 사고와 달리 원자로 밑을 감싸는 벽이 깨지고 금이 가서 그 지하수가 오염되고 있다는 것"이라며 "이게 장기적으로 갈 것이고, 방출 자체도 정화 후 30년이 걸릴지 40년이 걸릴지 검증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한 두 번 정도 해양에 방류하는 건 과학적 분석과 조사가 있지만, 과연 희석해서 10년, 20년, 30년, 40년, 50년으로 간다면 이건 어떤 결과가 나올지 예단하기 어려운 것 아니겠느냐"며 "좀 더 검토하고 조사해봐야 하니, 그런 측면에서 정보가 부족하다고 일본 측에 얘기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또 "조금은 더 시간이 걸리고 우리와 정보를 공유하면서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일본의 결정이 생각보다 조금 빠르고 갑작스러웠다"고 설명했습니다.

외교부는 오늘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일본대사 초치 때도 정보 제공 문제를 중점적으로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