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올해도 석 달 연속 인구 줄어…65세 이상 고령층이 청소년 추월

올해도 석 달 연속 인구 줄어…65세 이상 고령층이 청소년 추월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감소한 이후 올해 들어서도 3개월 연속으로 인구가 줄었습니다.

1분기 출생자 수가 사망자보다 적은 데 따른 자연 감소는 1만여 명이고, 여기에 거주불명자 직권말소 등을 반영하면 주민등록인구가 모두 12만3천여 명 감소했습니다.

고령인구가 늘면서 65세 이상이 청소년층을 처음으로 넘어섰습니다.

이에 비해 출생자 수는 10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인구가 늘어난 시·도는 17곳 중 세종시와 경기도 2곳에 그쳤습니다.

세대수는 계속 늘어 역대 최다 기록을 이었고 평균 세대원 수는 2.23명으로 최저치를 경신했습니다.

오늘(7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31일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는 5천170만5천905명으로 지난해 말(5천182만9천23명)보다 12만3천118명(0.24%) 줄었습니다.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 처음 주민등록인구가 감소한 이후 올해 들어서도 3개월 연속 인구가 감소했습니다.

올해 1분기에는 지난 2∼3월 5년 이상 장기 거주불명자에 관한 사실조사를 벌인 결과 11만6천177명의 주민등록이 직권말소돼 주민등록 인구통계 집계에서 제외되면서 감소 폭이 커졌습니다.

출생·사망 등 순수 자연적 요인에 의한 감소는 1만37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1분기 출생자는 6만8천99명, 사망자는 7만8천469명이었습니다.

출생자는 작년 동기보다 5천614명(7.6%), 10년 전 동기보다는 5만7천410명(45.7%) 각각 감소했습니다.

사망자 수는 작년 동기 대비로는 2천824명(3.5%) 줄었으나 10년 전 동기와 비교해서는 1만525명(15.5%) 증가했습니다.

성별 인구는 여자가 2천591만8천515명(50.1%), 남자는 2천578만7천390명(49.9%)이었습니다.

작년 말 대비 여자 인구는 6만9천479명(0.27%), 남자 인구는 5만3천639명(0.21%) 각각 감소했습니다.

자연감소 인원은 여자가 3천195명, 남자는 7천175명이었습니다.

남녀 간 인구 격차(여-남)는 2월에 약 15만1천 명으로 사상 최대로 벌어졌다가 장기 거주불명자 직권말소 인원이 남자가 더 많아 3월 말 기준으로는 작년 말보다 다소 줄었습니다.

월별 출생·사망자 추이 및 분기별 출생 · 사망자 증감 현황

아동·청소년·청년 인구는 계속 줄고 고령인구는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1분기 말 아동(0∼17세) 인구는 765만 명, 청소년(9∼24세) 인구는 846만 명, 청년(19∼34세) 인구는 1천45만 명으로 모두 작년 말보다 감소했습니다.

작년 3월 말과 비교하면 각각 2.8%, 2.7%, 1.1% 줄었습니다.

10년 전인 2011년 동월 대비로는 아동은 244만 명(24.2%)이나 줄었고 청소년은 202만 명(19.3%), 청년은 103만 명(9.0%) 감소했습니다.

반면 고령인구는 계속 늘었습니다.

3월 말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857만4천588명, 70세 이상은 571만5천548만 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4.7%와 2.9%, 10년 전 동월 대비로는 54.6%, 56.5% 각각 증가했습니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5세 이상이 16.6%, 70세 이상은 11.0%입니다.

2011년 말과 올해 1분기 말 연령계층별 인구 비율을 비교하면 아동(19.6%→14.8%)·청소년(20.5%→16.4%)·청년(22.6%→20.2%)은 계속 떨어지고, 65세 이상 고령 인구(11.2%→16.6%)는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은 2019년 아동 인구를 추월한 데 이어 이번에 처음으로 청소년 인구도 뛰어넘었습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경우 고령화사회, 15%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했습니다.

세대 수는 1인 가구가 늘어난 영향으로 증가세를 이었습니다.

1분기 말 전체 세대수는 2천315만7천385세대로 작년 말(2천309만3천108세대)보다 6만4천277세대(0.28%) 늘어나며 역대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

이에 비해 평균 세대원 수는 2.23명으로 작년 말 2.24명에서 더 줄어들며 역대 최저치를 보였습니다.

세대원 수별로는 1인 세대가 913만9천287세대로 전체의 39.5%를 차지하며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4인 세대 이상은 454만7천368세대(19.6%)로 처음으로 20%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2인 세대는 23.6%, 3인 세대는 17.3%를 차지했습니다.

1·2인 세대 비율은 전체의 63.1%로 작년 말 62.6%보다 올라갔습니다.

아동 · 청소년 · 청년 및 고령인구 변화 추이

작년 말보다 올해 1분기 말 인구가 증가한 지방자치단체는 17개 시도 중 경기(3만8천823명 증가)와 세종(4천631명 증가) 2곳에 그쳤습니다.

서울(6만9천981명 감소, 이하 감소 폭), 부산(1만9천547명), 경남(9천753명), 대구(9천471명), 울산(6천763명), 전남(6천738명), 전북(6천654명), 강원(6천441명), 인천(6천367명), 대전(5천419명) 등 나머지 15개 시도 인구는 감소했습니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인구는 모두 2천600만782명으로 전체 인구의 50.2%를 차지했습니다.

수도권 인구는 작년 말(2천603만8천307명)보다는 소폭 줄었으나 비율은 그대로였습니다.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인 시도는 전남(23.7%), 경북(22.0%), 전북(21.6%), 강원(21.0%) 등 4곳이었습니다.

부산(19.6%), 충남(19.3%)은 초고령사회 진입에 가까워졌습니다.

시군구별 2020년 말 대비 2021년 1분기(3월 말) 인구 증감 현황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연합뉴스)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