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외국인 엑소더스' 여파? …미얀마서 한국행 임시 항공편 가격 급등

'외국인 엑소더스' 여파? …미얀마서 한국행 임시 항공편 가격 급등
미얀마 유혈사태가 악화일로로 치달으면서 미국과 독일, 노르웨이가 현지 체류 중인 자국민에게 소개령을 내리거나 미얀마를 떠날 것을 강력히 권고한 것으로 전해지자 한국행 임시항공편 가격이 치솟고 있습니다.

주요 항공사 국제항공편이 끊긴 상황에서 귀국길에 오르는 외국인들이 출국하려면 한국행 항공편 등 극소수 항공편을 이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1일 현지 항공업계에 따르면 '구호 항공기(relief flight)'이라는 이름으로 한국∼미얀마 노선을 오가는 미얀마국제항공(MAI) 임시항공편의 4월초 한국행 항공권은 전날 835달러(약 95만 원)로 책정됐습니다.

주요국 정부의 권고에 따라 출국 수요가 일시에 몰리면서 한국행 임시항공편 요금이 지난달 30일 670달러(약75만 원)보다 무려 165달러나 오른 것입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국제항공편 착륙이 전면 금지된 상황에서도 MAI의 한국행 임시항공편이 유일하게 운항을 계속해 왔습니다.

외항선원 등 해외 송출 근로자들이 비교적 많은 미얀마로서는 이들의 귀국과 교대 인력을 위한 항공편이 필요했고, 그 해결책으로 한국행 항공편이 낙점된 셈입니다.

MAI 임시항공편 발급 업무를 담당하는 H여행사 관계자는 "MAI의 4월 11일과 13일 한국행 임시항공편 좌석값이 하루만에 670달러에서 835달러로 치솟았다"며 "그마저도 더 오를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임시항공편 가격이 하루새 급등한 건 미국 정부의 비필수 업무 공무원 및 가족 소개령과 노르웨이 정부의 자국민 귀국 권고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좌석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MAI측이 항공권 가격을 큰 폭으로 올렸다는 분석입니다.

미얀마 3대 이동통신사 중의 하나인 텔레노르(Telenor)를 운영하는 국가인 노르웨이의 자국민 귀국 권고 역시 출국 러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이나 노르웨이 국적자 등 미얀마 체류 외국인이 외국으로 나갈 수 있는 유일한 항공편은 MAI 인천행 임시항공편이 거의 유일한 대안입니다.

지난 2월 군부 쿠데타 이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나 싱가포르행 임시 항공편이 추가되기는 했지만 이렇다할 운행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여기에 국적기인 대한항공이 미얀마 급유업체 파업과 양곤 국제공항 관제사 파업 이후 임시항공편 운항을 하지 않는 점도 항공권 요금을 부채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국인 엑소더스'로 인해 한국행 임시항공편 요금이 치솟으면서 한국 교민들도 영향을 받게 됐습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재입국이 쉽지 않아 귀국 수요가 적은 편이기는 하지만 한국에 들어갈 교민들로서는 항공권 급등이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