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무연고 사망자, 지난해 2천880명…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아

무연고 사망자, 지난해 2천880명…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아
생(生)의 마지막 순간이 지난 뒤 아무런 연고 없이 홀로 남겨진 '무연고' 사망자가 해마다 꾸준하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무도 곁에 없이 맞이하는 죽음이 사회적 문제로 부상한 지 이미 오래지만, 현재 분명한 기준에 따라 정밀하게 집계된 통계조차 없는 데다 관련 정책 역시 미흡한 수준이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오늘(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고영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 무연고 시신 처리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무연고 사망자는 총 2천880명이었습니다.

무연고 사망이란 사망 후 연고자를 찾지 못한 경우를 뜻합니다.

연고자가 아예 없거나 연고자를 알 수 없는 경우, 연고자가 있지만 사회·경제적 능력 부족, 가족관계 단절 등 다양한 이유로 시신 인수를 거부하거나 기피하는 경우까지도 모두 포함합니다.

최근 몇 년간 무연고 사망자는 꾸준하게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무연고 사망자는 2016년 1천820명, 2017년 2천8명, 2018년 2천447명, 2019년 2천536명, 2020년 2천880명 등으로 해마다 늘었습니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보면 2016년과 비교해 4년 새 58.2% 증가한 셈입니다.

지난해 무연고 사망자 가운데 남성은 2천172명으로, 여성(601명)보다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65세 이상 노인이 1천298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45.1%를 차지해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50∼59세(623명), 60∼64세(499명), 40∼49세(256명) 등이었습니다.

20대, 30대 등 젊은 층을 포함한 40세 미만의 사망자도 전국적으로 97명이나 됐습니다.

그러나 이런 수치마저 정확하지 않거나 현장 상황과는 다르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공영장례를 돕는 비영리단체 '나눔과나눔'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으로 서울의 무연고 사망자는 연간 665명으로, 복지부가 밝힌 서울 지역 사망자(561명)와는 100명 넘게 차이가 있습니다.

다른 지자체 역시 비슷한 사정입니다.

박진옥 나눔과나눔 상임이사는 무연고 사망자 통계와 관련해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통계 자체가 없다"면서 "현재 지자체 자료를 취합해서 합계를 내고 있는데 숫자의 신뢰성에도 의문이 생긴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례로 서울시의 무연고 사망자 통계에서는 2018년 566명에서 2019년 486명으로 감소했는데, 나눔과나눔 측이 공영 장례로 지원한 사망자는 같은 기간 389명에서 434명으로 늘어난 바 있습니다.

박 상임이사는 "무연고 사망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통계에 기반해 정책을 수립하고 그에 따라 예산을 편성해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며 "이제는 숫자가 아니라 의미 있는 통계가 나와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