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본 학자 "램지어 논문, 대등한 교섭 전제…여성 처지 경시"

일본 학자 "램지어 논문, 대등한 교섭 전제…여성 처지 경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매춘부로 규정한 존 마크 램지어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의 논문에 대해 일본 연구자들도 비판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램지어의 논문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일본 정부의 조사 결과, 생존 피해자의 증언,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확인된 일본 공문서에서 파악되는 사실 등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아 설득력이 없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관한 내용 외에도 그가 논문에서 함께 내놓은 일본의 공창 제도에 관한 분석도 시대적 배경을 도외시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일본의 근대 공창 제도와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연구해 온 오노자와 아카네 릿쿄대 교수는 램지어의 논문이 일본의 예창기 계약과 관련해 당시 여성들이 처한 사회적 여건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오노자와 교수는 "근대 일본 여성들은 과거 일본의 가족제도인 '이에 제도' 아래에서 자유롭지 못한 삶을 강요당했으며 공창은 여성들의 이런 처지와 깊은 관계가 있는 제도"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램지어 씨의 논문 '태평양 전쟁에서 성매매 계약'은 이런 점을 경시하고 경영자와 예기·창기가 마치 대등한 관계 아래서 교섭해 계약을 맺기라도 한 것 같은 점을 전제로 쓴 것이며 매우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오노자와 교수는 또 "예기나 창기가 간단하게 폐업할 수 있었다고 쓴 것도 사실과 어긋나고 그 주장은 근거가 박약하다"며 다음 달 14일 열릴 온라인 집회에서 이런 내용을 논박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램지어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매춘부로 규정해 역사적 사실을 왜곡한다는 지적을 받았는데, 이런 주장의 기반이 되는 공창제에 대한 분석에서부터 오류에 빠진 것으로 봐야 한다는 지적으로 풀이됩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매춘부로 규정한 논문을 계기로 램지어가 학자로서 자질을 갖췄는지에 대한 의문마저 확산하는 양상입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사이트를 운영하는 일본 시민단체 '파이트 포 저스티스'는 램지어 교수가 30년 전에도 예창기 계약에 관한 논문을 썼지만, 사실과 다른 오류가 많았고 간토 대지진 직후의 조선인 학살이나 일본 내 차별의 일종인 부라쿠 문제에 관해서도 편견으로 가득한 논문을 썼다고 지적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