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오늘(25일) 모든 부처 기자를 대상으로 한 개방형 정례 브리핑을 시작했습니다.
정보를 개방해 정부 부처별 기자단 중심 취재 관행을 깨겠다는 일종의 언론 개혁 시도입니다.
정 총리는 오늘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약 30분간 출입처 중심 기자단 운영 개선방안과 정책 현안에 대해 질의응답을 했습니다.
정 총리는 "정부와 언론 간 소통이 국민 눈높이에 맞게 투명하고 개방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며 "정보 공유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브리핑을 만들었고 문턱도 과감히 허물겠다"고 밝혔습니다.
정 총리는 앞으로도 매주 목요일 오후 브리핑을 통해 출입 부처나 기자단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기자로부터 질문을 받고 이에 답할 방침입니다.
정 총리가 개방형 브리핑을 결정한 것은 지난 18일 언론개혁 방안을 주제로 한 목요대화에서 폐쇄적인 출입기자단 관행부터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 데 따른 것입니다.
정 총리는 브리핑 제도 개선이 정보 개방에 방점이 찍힌 것이지, 기자단 폐지 수순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정 총리는 "기자단을 해체하거나 (기자실을) 폐쇄하는 것은 아주 지혜롭지 못한 일이고, 그럴 계획이나 생각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기자단 제도에 부작용이 있고 특히 서초동 쪽에 문제가 많다고 국민들이 걱정한다"며 "서초동 뿐 아니라 다른 곳에도 문제가 있다면 개선하는 게 좋고, 그 개선은 기자들 스스로가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정 총리가 언급한 '서초동 쪽'은 최근 청와대 국민청원의 소재가 된 검찰 기자단을 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구체적인 기자단 운영 개선 방안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중장기적으로 마련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