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난해 인구 -33,000명…사상 첫 '데드크로스'

신생아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자연 감소했습니다.

저출산·고령화 기조가 가속하는 가운데 코로나19의 영향을 고려하면 '인구 절벽'은 더욱 가팔라질 전망입니다.

오늘(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출생·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는 3만3천 명 자연감소했습니다.

사상 처음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데드크로스'가 발생했습니다.

인구 자연증가(출생-사망)는 2010년까지만 해도 20만 명을 넘겼으나 2017년(7만2천 명) 10만 명 아래로 떨어진 데 이어 2018년 2만8천 명, 2019년 8천 명 등으로 급속도로 줄었습니다.

김수영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계속되는 저출산으로 출생아 수가 줄어들고 고령화로 사망자 수가 증가하며 인구 자연감소가 최초로 발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7만2천400명으로 전년(30만2천700명)보다 3만300명(-10.0%) 감소했습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70년 이래 최소 기록입니다.

연간 출생아 수가 20만 명대로 떨어진 것은 사상 처음입니다.

2002년부터 2016년까지 15년간 40만 명대를 유지하던 출생아 수는 2017년 30만 명대로 떨어졌는데, 불과 3년 만에 20만 명대로 진입했습니다.

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5.3명으로 역시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습니다.

반면 사망자 수는 30만5천100명으로 전년보다 1만 명(3.4%) 늘면서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최다치를 기록했습니다.

인구 1천 명당 사망자 수인 조사망률은 5.9명으로 지난 2010년부터 11년째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인 0.84명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로써 합계출산율은 2018년(0.98명), 2019년(0.92명)에 이어 3년 연속으로 1명 미만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여성이 가임기간 동안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인 곳은 우리나라가 유일합니다.

시도별로 보면 전국 8개 특·광역시와 9개 도 모두 합계출산율이 전년보다 감소했습니다.

서울은 0.64명으로 모든 시도를 통틀어 가장 낮았습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시행계획(예산안 기준)에 따르면 정부는 2006년부터 2020년까지 1∼3차에 걸친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추진해 2020년까지 총 225조 원을 저출산 대응 예산으로 사용했습니다.

지난해 저출산 대응 예산은 40조2천억 원으로 2006년(2조1천억 원) 대비 20배나 늘었습니다.

그러나 출산율 하락을 막기는 역부족인 상황입니다.

여기에 코로나19 충격이 겹치면서 향후 인구 자연감소는 더욱 가속할 가능성이 큽니다.

통계청 김수영 과장은 "지난해 코로나19로 혼인이 많이 감소해 향후 출생아 수가 더욱 감소할 여지가 있고, 사망자 수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자연감소는 조금 더 가팔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앞서 한국은행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인구구조 변화 여건 점검' 보고서에서 "코로나19가 출산에 미칠 영향은 2022년까지 적어도 2년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특히 통계청이 장래인구특별추계상 저위(비관) 추계 시나리오에서 2022년 합계출산율이 0.72명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는데, 한은 연구진은 실제 수치가 이를 더 밑돌 수도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