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찰 조사를 받던 2명의 시민이 현직 경찰로부터 돈을 요구받았다면서 해당 경찰을 검찰에 고소했습니다. 전주방송이 관련 녹취파일을 입수했는데 돈을 요구한 것으로 의심받는 경찰은 취재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나금동 기자입니다.
<기자>
A 씨와 B 씨는 회사의 업무를 방해하거나 대부업법을 위반한 혐의 등으로 경찰 조사를 받아왔습니다.
그런데 조사 과정에서 현직 경찰이 5천만 원을 요구했다고 주장합니다.
A 씨가 경찰과 나눈 통화라며 취재진에게 제보한 녹취파일입니다.
[A 씨 : 내가 오늘까지 그 5천(만 원)을 (B 씨에게) 챙기라고 그랬어.]
[경찰관 (추정) : 네.]
[A 씨 : (B 씨는) 일을 끝낸 뒤에 주는 거지 뭐 미리 다 주냐, 드려야 되냐. 그렇게 말하더라고. 그래서 내가 '그래야 할 걸? 하기 전에 해야 할 걸?' 내가 그랬어.]
[경찰관 (추정) : 그러지. 룰이 원래 그려. 하기 전에 다 하는 거여. 원래.]
사건 처리 수위에 대한 대화도 이어집니다.
[경찰관 (추정) : 100% 이것을 빼주네, 마네. 그건 내가 장담 못 하지. 그것은 내가 장담은 못 하고…그렇게 될 수가 없어. 긍게 내가 처음에 할 적에 그랬잖아. 응. 일단은 구속을 안… 영장을 안 만들고.]
[A 씨 : 응. 응.]
[경찰관 (추정) : 불구속으로 일단 먼저 시작하자고 그랬잖아. 내가 그래서.]
[A 씨 : 근데 100% 무혐의라는 것은 없다?]
[경찰관 (추정) : 없지. 안 되지. 100% 무혐의는 안 되는 거여.]
A 씨와 B 씨는 해당 경찰에게 실제로 5천만 원을 건네지는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경찰로부터 5천만 원을 요구받았고 직권남용과 비밀누설 등이 의심된다면서 지난해 말 해당 경찰을 검찰에 고소했습니다.
취재진은 해당 경찰에게 돈을 요구한 사실이 있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전화를 걸었지만, 취재를 거부했습니다.
이후 취재할 내용을 문자로 남겼지만 답변이 오지 않았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