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에 코로나 항체치료제 안 통할 수도"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에 코로나 항체치료제 안 통할 수도"
▲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

코로나19 항체 치료제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처음 발생한 변이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미국 제약사 일라이릴리의 데이브 릭스 최고경영자(CEO)는 12일(현지시간) CNBC방송에 출연해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는 우리가 우려하는 것 중 하나"라며 "이론적으로 우리 치료제를 피해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일라이릴리의 코로나19 항체치료제는 지난해 1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긴급사용 승인을 받아 감염자 치료에 쓰이고 있습니다.

릭스 CEO는 자사 치료제가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에는 약효가 있다면서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의 경우 "우리 치료제의 표적인 스파이크 단백질에 더 극적인 돌연변이가 발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최고의 감염병 전문가인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도 비슷한 견해를 밝혔습니다.

파우치 소장은 '슈미트 미래 포럼' 행사에서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가 항체치료제에 위협이 될 수 있다며 "불안하다"고 말했습니다.

예비 데이터에 따르면 항체치료제가 제공하는 보호 기능 일부를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가 회피할 수 있어 "더 많은 위협이 된다"고 파우치 소장은 설명했습니다.

그는 "단일 항체치료제와 아마도 백신의 보호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을지 모른다"며 "내가 매우 심각하게 여기는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

항체치료제와 달리 백신이나 항바이러스 치료제는 변이 바이러스에도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개발사들은 주장합니다.

화이자와 함께 백신을 개발한 독일 바이오엔테크의 우구르 사힌 CEO와 항바이러스제인 렘데시비르를 만든 길리어드사이언스의 대니얼 오데이 CEO는 최근 방송에 출연해 자사 제품이 변이 바이러스도 막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아직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고 있습니다.

영국 변이 바이러스는 최소 72건의 발병이 보고됐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