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년 9개월 새 서울 집 장만 기간 12.9→15.6년

1년 9개월 새 서울 집 장만 기간 12.9→15.6년
중간 정도 소득의 계층은 연간 소득을 꼬박 16년간 고스란히 모아야 서울에서 중간 정도 가격의 집이라도 장만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최근 집값 상승으로 주택 구매 여력을 갖출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작년 초와 비교해 2년이나 늘었습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오늘(29일) 발표한 'KB 부동산 보고서 주거용편'에 따르면 올해 들어 11월까지 주택 매매가격은 평균 6.9% 올랐습니다.

서울 등 수도권의 상승률은 9.2%에 이르렀습니다.

전세가격도 같은 기간 전국에서 5.4%, 수도권에서 7.3% 상승했습니다.

특히 서울은 7월 이후 월평균 약 1.4%의 가파른 상승세를 지속했습니다.

연구소는 "올해 초 코로나19로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매물이 늘면서 주택시장은 안정된 흐름을 보였다"며 "하지만 하반기 들어 상승세가 시작됐고, 주택임대차보호법이 통과된 뒤 전세시장 불안이 매매시장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주택시장은 상승률은 더 높아졌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KB국민은행이 집계한 소득 대비 집값 비율(PIR)도 높아졌습니다.

올해 11월 기준 전국 PIR(3분위 소득·3분위 주택 기준)은 5.5년 정도지만, 서울은 15.6년으로 나타났습니다.

연소득이 3분위(5분위 중)인 중위 소득 계층이 주택가격 3분위(5분위 중)인 중간 가격대 서울 집을 사려면 연소득을 한푼도 쓰지 않고 15.6년간 저축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15.6년은 2019년 1월(12.9년)보다 2년이나 늘어난 것입니다.

같은 기간 전국 주택의 중위(순서상 가운데) 가격은 3억1천900만 원에서 3억7천565만 원으로 7천만 원 올랐고, 서울 주택의 중위 가격도 6억3천206만 원에서 7억8천391만 원으로 약 1억5천만 원 올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