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얀센-화이자와 이달 중 코로나 백신 계약 목표…모더나는 내년 1월

얀센-화이자와 이달 중 코로나 백신 계약 목표…모더나는 내년 1월
▲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정부가 해외에서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을 도입하기 위해 존슨앤존슨-얀센과 화이자와는 이달 중, 모더나와는 내년 1월을 목표로 각각 계약 체결을 추진합니다.

정부는 앞서 구매 계약을 체결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내년 2∼3월 중에 국내에 들여온다는 계획입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오늘(18일) 열린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에서 백신 확보 계획을 이같이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물량 부족에 대비하기 위해 해외에서 개발 중인 백신 4천400만 명분을 선구매해 내년 2∼3월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백신 공동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1천만 명분을, 글로벌 제약사와의 개별 협상을 통해 3천400만 명분을 확보하기로 했습니다.

코백스 퍼실리티와는 구매약정을 맺고 지난 10월 9일 선급금 850억 원을 지급했습니다.

개별 제약사의 경우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존슨앤존슨-얀센, 모더나 등 4개사와 선구매 계약 또는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와는 이미 1천만 명분(2천만 회분)을 공급받기로 계약을 마쳤습니다.

계약을 앞두고 있는 존슨앤존슨-얀센에서는 400만 명분을, 화이자에서는 1천만 명분(2천만 회분)을 각각 공급받게 됩니다.

모더나에서는 1천만 명분(2천만 회분)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얀센과는 빠르면 다음 주 정도에 계약이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며 "화이자(와의) 계약서도 현재 최종 검토하는, 법률 검토를 하는 단계"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이들 4개 제약사 외에도 노바백스와도 협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임 국장은 "오늘 아침에 노바백스와 구매 관련 협상을 정부 대표단이 했다"며 "물량과 관련해서도 논의가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물량이 어느 정도 도입될 수 있을지 여부는 아직 추가적인 협의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코백스를 통해 확보한 백신도 내년 1분기에 도입할 수 있도록 논의를 진행 중입니다.

임 국장은 "코백스를 통한 1천만 명분의 공급 시기는 현재 논의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1차 공개 당시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사노피-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개발 백신 등 3가지 종류를 제안받았고, (우리가) 공급을 받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어 "내년 1분기에 도입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코백스 집행부와 회의하고 있다"며 "다음 주에도 코백스 대표와 우리 관계부처 합동팀이 백신 공급 시기와 관련한 협의를 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임 국장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관련해선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위탁 생산할) '메이드 인 코리아 백신'이 내년 2월, 3월께 도입되고 여기에 따라서 접종을 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약 4천400만 명분의 백신 물량은 확실하게 확보했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임 국장은 "내년이 끝나기 전에 4천400만 명분의 백신은 확보돼 있다"면서 "이 중 개별기업 협상을 통한 3천400만 명분의 백신은 확실하게 한국 정부에 공급하게 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미국인 우선 접종'에 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인해 백신 도입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우려와 관련해서도 영향이 없다고 자신했습니다.

임 국장은 "화이자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모두 행정명령과 무관하게 백신을 공급하겠다는 의사를 현재까지 밝혔다"며 "'행정명령으로 한국에 도입되는 백신에 차질이 있겠다'는 언론 보도 내용은 맞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국내에서 개발 중인 백신 관련 질문에는 "지금 당장은 우리나라의 백신 기술이 서구 글로벌 제약기업에 비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희망컨대 한국이 만든 백신은 내년 말, 내후년 초 정도면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답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도입을 추진 중인 백신은 크게 mRNA(메신저 리보핵산)를 이용한 백신과 바이러스를 전달체(벡터)로 이용한 형태 등 2개 플랫폼으로 나뉩니다.

화이자와 모더나가 개발 중인 mRNA 백신은 단기간 내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존슨앤존슨-얀센은 항원 유전자 일부를 무해한 바이러스에 삽입해 접종하는 전달체 백신을 개발 중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