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유엔총회, 16년 연속 북한인권결의 채택…"조직적 인권침해"

유엔총회, 16년 연속 북한인권결의 채택…"조직적 인권침해"
▲ 북한인권결의안 논의하는 유엔총회 본회의

북한의 인권침해를 규탄하고 개선을 촉구하기 위한 북한인권결의안이 16년 연속 유엔총회에서 통과됐습니다.

유엔총회는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본회의를 열고 북한의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침해를 규탄하는 내용의 북한인권결의안을 표결 없이 컨센서스(전원동의)로 채택했습니다.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 채택은 지난 2005년부터 시작돼 올해로 16년째입니다.

유엔총회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이 컨센서스로 채택된 것은 지난 2012∼2013년과 2016∼2019년에 이어 올해가 7번째입니다.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이 주도한 이번 결의안은 대체로 기존 결의안의 문구를 거의 그대로 반영했으며, 코로나19 대유행 사태에 따른 인도주의적 위기 우려 등을 추가했습니다.

우선 결의안은 북한의 '고문, 성폭력과 자의적 구금', '정치범 강제수용소', '조직적 납치', '송환된 탈북자 처우' 등을 지적하면서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벌어지는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침해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결의안은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북한 인권 상황의 국제형사재판소(ICC) 회부와 "가장 책임 있는 자들을 겨냥한 추가 제재 고려" 등 적절한 조치를 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특히 올해 결의안은 "코로나19와 같은 보건 위기와 자연재해에 대한 제한적인 대처 능력 때문에 빠르게 악화할 가능성이 있는 북한의 위태로운 인도주의적 상황에 매우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코로나19 사태가 북한 인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우려했습니다.

한반도 상황과 관련해서는 "남북대화를 포함한 대화와 관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며 외교 노력을 권장하는 내용이 추가됐습니다.

북한과 대화체를 유지하는 국가들이 계속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안보 구축을 지지할 것도 독려했습니다.

이산가족 문제의 시급성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상봉 재개를 촉구하는 문구도 담겼습니다.

이번 결의안은 EU 국가들 외에 일본, 미국, 영국, 캐나다 등 58개 회원국이 공동 제안국으로 참여했습니다.

한국은 지난해부터 2년 연속으로 공동제안국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으나, 컨센서스에는 동참했습니다.

(사진=유엔 웹티비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