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청약시장서 중대형 아파트 인기 고공행진…서울 경쟁률 200대 1

청약시장서 중대형 아파트 인기 고공행진…서울 경쟁률 200대 1
청약 시장에서 중대형(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의 인기가 치솟고 있습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중대형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은 199.6대 1로, 지난해 경쟁률(38.4대 1)의 5.2배에 달했습니다.

2014년만 하더라도 서울 중대형 아파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2.8대 1에 그쳤습니다.

중대형의 인기가 6년 새 71배 이상으로 상승한 셈입니다.

서울에서 중대형 아파트 공급 물량은 2014년 4천317가구에서 올해는 지난 11일까지 3천290가구로 감소했습니다.

이런 공급 감소세에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넓은 실내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점도 중대형 아파트의 인기 상승 요인으로 꼽힙니다.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 분위기가 확산함에 따라 집의 기능이 일과 학습, 여가까지 소화해야 하는 곳으로 바뀌면서 중대형 면적이 시장의 주목을 받는 것입니다.

여기에 정부의 각종 부동산 규제 강화로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도가 커지는 점도 중대형 아파트의 인기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입니다.

또 청약이 내 집 마련의 최선책으로 부각되면서 가점이 부족한 예비 청약자들이 중대형에 대거 청약통장을 던지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현재 전용 85㎡를 초과하는 민영주택 기준으로 투기과열지구는 공급량의 50%, 조정대상지역은 75%가 추첨을 통해 당첨자를 선정하기 때문입니다.

올해 중대형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은 서울 외에도 세종(153.3대 1)과 경기(116.2대 1)에서 세자릿 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보인 경쟁률 대비 각각 2.7배, 3.0배로 상승한 수치입니다.

전국적으로도 올해 중대형 아파트 1순위 청약률(64.0대 1)은 작년 경쟁률(30.6대 1)의 2배가 넘게 뛰었습니다.

반면 중대형 아파트 물량은 감소세입니다.

지난 몇 년간 1·2인 가구 증가, 혁신 설계, 높은 환금성 등으로 건설사들이 중대형보다 소형 면적 중심으로 단지를 구성해왔기 때문입니다.

전국의 중대형 아파트 공급 물량은 2014∼2016년 3만 가구를 웃돌았다가 2018년 1만9천 가구까지 떨어졌고, 올해는 2만 가구를 겨우 넘긴 수준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