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당국 "관리 안 된다" 질책에 은행, 가계대출 더 조인다

당국 "관리 안 된다" 질책에 은행, 가계대출 더 조인다
연말을 앞두고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에 다시 강하게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주문하자 은행들이 문턱을 높이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대출 문을 하나씩 닫고 있습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4일 금융감독원은 부원장보 주재로 시중은행 가계대출 담당 임원(부행장급)들을 모아 '가계 대출 관리 동향 및 점검' 화상회의를 진행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금감원측은 지난달 신용대출을 포함한 가계대출이 다시 급증한 사실을 지적하며 "10월과 달리 11월 가계대출 관리가 잘되지 않은 것 같다. 당초(9월) 제출한 연내 가계대출 총량 관리 목표를 반드시 지켜달라"고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제로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월 한 달에만 9조4천195억 원(657조5천520억→666조9천716억 원) 급증했습니다.

10월 증가액(7조6천611억 원)보다 약 2조 원 많은 규모입니다.

특히 신용대출의 경우 금융당국이 지난달 13일 연봉 8천만 원 이상 고소득자의 1억 원이 넘는 신용대출 등에 대한 규제를 예고한 뒤 '규제 시행에 앞서 일단 받아 놓자'는 가수요가 몰리면서 4조8천495억 원(128조8천431억→133조6천925억 원)이나 불었습니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도 4조1천354억 원(466조2천884억→470조4천38억 원) 증가했습니다.

금감원은 특히 가계대출 속도 조절에 실패해 연내 총량 관리 목표 달성이 거의 불가능해진 2개 은행을 지목, 강하게 질책하며 '개별 면담'까지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금융당국의 경고와 압박에 은행들은 가계대출 추가 규제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이미 지난 10월 이후 신용대출 금리를 높이고 한도를 축소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계대출을 조여왔지만, 넘치는 대출 수요로 총량 관리에 어려움을 겪자 '마른 수건 짜기'식으로 남은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분위기입니다.

KB국민은행은 당장 오늘(9일)부터 연말까지 대출상담사를 통한 주택담보·전세대출 모집을 전면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대출 상담사는 카드 모집인과 비슷하게 은행 외부에서 대출 상담창구 역할을 하며 실제 은행과 차주(돈 빌리는 사람)를 연결해주는데, 이들을 통한 대출 신청을 당분간 받지 않겠다는 얘기입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적어도 우리 은행에서 지난 수년간 대출상담사 대출을 막은 사례는 없었다. 이례적인 일로, 올해 코로나와 저금리 등으로 대출이 워낙 많이 늘어난 만큼 연말에 강하게 대출 총량을 관리하겠다는 의미"라고 말했습니다.

우리은행은 비대면 신용대출 주력 상품인 '우리 WON하는 직장인대출' 판매를 오는 11일부터 중단합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 상품에 설정해둔 올해 대출 한도가 3조3천억 원이었는데, 연말을 한 달 앞두고 소진돼 판매를 조기 종료한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 내부적으로 각 상품의 대략적 수요를 예상해 연간 한도를 설정해두기는 하지만, 이 한도를 넘었다고 반드시 상품 판매를 멈춰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주력 신용대출 상품을 한도를 이유로 막는다는 것은 그만큼 현재 대출 총량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얘기"라고 덧붙였습니다.

하나은행도 조만간 의사·변호사 등 전문직에 대한 대출한도를 더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은행권에서는 당국의 대출 규제 압박에 대한 불만도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은 대출 수요가 많아 대출한 것일 뿐인데, 정부는 기본적으로 은행이 공격적으로 대출을 해서 부동산 등에 돈이 흘러간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부동산 가격 상승의 책임을 은행에 돌리는 격"이라고 말했습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달의 경우 당국이 신용대출 규제를 예고해 가수요 급증을 스스로 자초한 것"이라며 "그런데도 은행의 총량 관리 부실을 질책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신용대출은 지난달 5대 은행에서 4조8천495억 원이나 급증했지만, 이달 들어서는 눈에 띄게 증가 속도가 줄어 7일까지 증가액이 1천112억 원에 불과한 상태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