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부위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수술한 뒤 후속 조치도 제때 하지 않아 환자를 사망하도록 했다며 병원 측에 배상 책임을 물은 판결이 나왔습니다.
울산지법 민사11부는 수술 후 사망한 A 씨 유족이 병원 측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병원 측은 A 씨 부친과 모친에게 각각 3천200만 원 상당을 지급하라고 유족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20대였던 A 씨는 지난 2018년 충남에 있는 한 종합병원에서 복막암 의심 판정을 받고 담낭절제술을 받았습니다.
수술 후 A 씨 체내에 담즙이 누출되는 현상이 생겨 병원 측은 항생제 등을 투여했지만, 누출이 줄어들지 않았고, 병원 측은 2주 정도 지난 뒤 검사를 통해 총담관이 절단된 것을 발견했습니다.
A 씨는 담즙 누출로 인한 복부 통증을 호소해 병원 측은 이후 두 차례 더 수술했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던 A 씨는 다른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받다가 두 달 뒤 숨졌습니다.
재판부는 당시 환자 상태와 수술 대상 부위를 제대로 확인해야 하는데, 병원 측이 소홀히 해 총담관을 절단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또 총담관이 손상된 것을 병원 측이 알고도 13일이 지난 뒤에야 합병증 방지를 위한 시술을 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재판부는 "A 씨 총담관이 손상된 것은 의료진이 수술 과정에서 대상 부위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과실 때문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며, "유족에게 위자료와 장례비 등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