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들불처럼 번져…" 미국 시골 요양원까지 코로나19 대유행

"들불처럼 번져…" 미국 시골 요양원까지 코로나19 대유행
미국에서 코로나19가 마스크 부족과 인력난 등으로 곤란을 겪고 있는 시골 요양시설로까지 번지면서 사망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10월 26일(현지시간)부터 11월 1일까지 한 주 동안 위스콘신, 노스다코타, 몬태나주 등에 있는 시골 요양시설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3만2천여 명 나왔으며, 이 중 1천900명 이상이 숨졌다고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5일 보도했습니다.

노스다코타주 그래프턴에 있는 '루서런 선셋 요양원'에서는 지난달 말 거주자 55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됐으며 이 중 5명이 숨졌습니다.

직원 중에서도 확진자가 46명 나왔습니다.

루서런 선셋 요양원 관리자인 트레버 톰킨스는 "직원들이 방역수칙을 준수했지만, 코로나19는 들불처럼 번졌다"면서 "마치 지옥에 있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지난여름까지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았던 몬태나주 해버에 있는 한 요양원에서는 지난 9월 첫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이후 거주자 68명 중 절반을 넘는 35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됐고, 이 중 16명이 숨졌습니다.

이는 지난 8월 초 이후 최다 규모며, 1차 대유행 때와는 다른 양상입니다.

미국 건강보험서비스센터(CMS)에 따르면 10월 26일∼11월 1일 한 주 동안 요양시설 관련 코로나19 사망자의 18%가 전체 요양시설 거주자의 10%를 수용하고 있는 시골 요양시설에서 나왔습니다.

지난 5월에는 요양시설 관련 코로나19 사망자의 4%만 시골 요양시설에서 보고됐습니다.

반면 지난 5월 말∼6월 초까지는 요양시설 관련 코로나19 사망자의 3분의 1이 뉴욕 등 대도시에 있는 요양원에서 발생했습니다.

최근에는 요양시설 관련 코로나19 사망자의 9%만 대도시 요양원에서 나왔습니다.

시골 요양시설에서 코로나19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는 것은 N95 마스크 등 보호장비가 부족하고 기존 직원이 자가격리를 하게 되면 빈자리를 메우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WSJ은 분석했습니다.

미네소타주 히빙에 있는 한 요양원은 다른 요양원 직원을 끌어다 쓰고 있으며, 지난달에는 주방위군 측으로부터 도움을 받기도 했습니다.

노스다코타대 연구 부교수인 쇼나 슈뢰더는 "더 외진 곳에 있는 지역사회일수록 인력을 구하기 더 힘들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시골 요양원들은 시설이 좁아 확진자들을 격리할만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의료시설 접근성도 좋지 않다고 WSJ은 지적했습니다.

CMS 대변인은 "시골 요양원의 인력수급 문제를 완화하고 원격진료를 더 수월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전례 없는 규모의 조처를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감염률이 높은 카운티에 있는 요양시설 직원들의 경우 2주마다 한 번씩 검사를 받도록 해왔습니다.

현재까지 미국 요양원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사망자는 9만여 명으로 이는 전체 코로나19 사망자의 36%를 넘는 규모입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